기록컬렉션

× 기록컬렉션은 부산 지역의 역사와 관련하여 그동안 수집하고 기증받은 다양한 기록들을 기록 유형별로 컬렉션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유형별로 어떤 기록이 들어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컬렉션 링크들 중 원하시는 링크를 클릭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민 여러분께서 기증하신 기록이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록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언제든 아카이브 담당자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부산항 362건

부산항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한민국 최대의 무역항이다. 1876년 2월 27일에 근대항으로서는 가장 먼저 개항하였다. 부산항만공사가 운영하며 대한민국에서 무역 규모 및 물동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1,867만 TEU를 처리하여 컨테이너 항만 중 물동량 세계 5위이다. 대한민국 총 해상수출화물의 40%, 컨테이너 화물의 80%, 전국 수산물생산량의 42%를 처리하고 있다.


조선 부산 전경 [사진] [건] (날짜미상)

용미산이 보이는 부산항의 전경
부산풍경 [사진] [건] (날짜미상)

(釜山風景)(12) 全景
부산항 연안여객부두 공사현장1 [사진] [건] (1977-12-31)

부산항 연안여객부두 공사 현장에서 인부들과 공사차량.
부산항 연안여객부두 공사현장2 [사진] [건] (1977-12-31)

부산항 연안여객부두 공사 현장. 공사를 위한 구조물과 자재들. 공사 과정상의 증거.
부산항1 [사진] [건] (1977-08-03)

부산항(釜山港, 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로 항만법상 제1종항이다.)
부산항 제 8부두 공사전경1 [사진] [건] (1977-02-28)

부산항 제8부두(1974년부터 착수한 세계은행(IBRD) 차관에 의한 부산항 개발 1단계 공사중의 일부로 특수화물 취급을 위한 부두조성)…
화약을 장진하는 광경 [사진] [건] (1977-12-31)

준설공사를 위한 발파용 화약의 수중(水中)설치 작업.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현장1 [사진] [건] (1976-12-31)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시행의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 현장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현장2 [사진] [건] (1976-12-31)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시행의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 현장의 팻말이 보임.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현장3 [사진] [건] (1976-12-31)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시행의 부산항 국제여객부두 공사 현장
부산항 및 정박 어선들1 [사진] [건] (1976-06-18)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각종 선박들
부산항 및 정박 어선들2 [사진] [건] (1976-06-18)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각종 선박들과 주변에 모여든 사람들
부산항 및 정박 어선들3 [사진] [건] (1976-06-18)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각종 선박들
부산항 남항3 [사진] [건] (1976-02-28)

부산항 남항(내항)의 어판장 모습과 여러 상가들
부산항 전경2 [사진] [건] (1976-06-07)

부산항 전경과 용두산의 부산타워의 모습
부산항전경(釜山港全景) [사진] [건] (날짜미상)

용미산이 보이는 부산항의 모습
부산항 전경(釜山港全景)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항에 줄지어 정박한 선박과 철도의 모습
부산항전경(釜山港全景)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항 인근에 밀집한 집들과 절도의 모습
부산항전경6 [사진] [건] [1976-06-07]

부산항에 정박한 대형 선박의 모습
부산항전경(釜山港全景)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항의 모습과 밀집된 집들의 모습
부산항전경(釜山港全景)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항의 모습과 밀집한 집들의 모습
제 1부두공사전경2 [사진] [건] (1975-12-31)

부산항 제1부두 개축공사 전경 (※ 1974년부터 착수한 세계은행(IBRD) 차관에 의한 부산항 개발 1단계 공사로 제5·7·8부두,…
제 1부두공사전경8 [사진] [건] (1975-12-31)

부산항 제1부두 개축공사 전경
부산항1 [사진] [건] (1974-08-20)

부산 영도구쪽에서 촬영한 부산내항의 전경(오른쪽으로 보이는 건물은 용두산 공원와 부산타워)
부산항4 [사진] [건] (1974-08-20)

부산항 전경. 선박에서 작업중인 어부의 모습
부산항어선2 [사진] [건] (1972-09-30)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어선들
부산항어선3 [사진] [건] (1972-09-30)

부산항에 정박해 있는 어선들
한국 정부관계자로부터 환영 받는 캐나다군 장교 [사진] [건] (1950-12-1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에 도착한 캐나다군 장교 [사진] [건] (1950-12-1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에 도착한 UN 소속 필리핀 파견부대를 한국군악대가 맞이함 [사진] [건] (1950-12-1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8부두 현 미해군수송사령부 [사진] [건] (1950-09-14)

부산 근처 해안가에 부대를 건설하고 있는 모습,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미8군 110보충부대를 싣고 부산항 1부두에 정박한 코난마루호 [사진] [건] (1951-01-16)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바지선에 실린 미군장비들 3부두 [사진] [건] (1951-01-19)

바지선에 실린 미군장비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항 전경9 [사진] [건] (1970-12-28)

부산항 전경과 영도대교
부산항 부두준설 현장 [사진] [건] (1970-09-24)

부산항부두의 준설(浚渫)현장
부산항 광경1 [사진] [건] (1970-11-22)

부산항(釜山港, 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로 항만법상 제1종항) 광경
부산항에 정박한 배들1 [사진] [건] (1970-11-22)

부산항(釜山港, 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로 항만법상 제1종항) 광경
부산항 광경2 [사진] [건] (1970-11-22)

부산항(釜山港, 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로 항만법상 제1종항) 광경
부산항의 풍경 [사진] [건] (1969-10-30)

부산항(釜山港, 항만법상 제1종항, 한국 최대의 항만이자 내,외무역의 관문)의 풍경
부산항 제 2부두 남물량장 [사진] [건] (1968-12-31)

부산항(1876년(고종 13) 2월 27일에 근대항으로서는 제일 먼저 개항함) 제2부두 남(南)물량장 전경
부산항 전경2 [사진] [건] (1966-05-07)

부산항(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로 항만법상 제1종항) 전경
부산항 남항 가호안 축조공사1 [사진] [건] (1962-12-31)

부산항 남항(1975년 부산항에서 분리 2종항으로 지정, 부산 어물시장이 부두에 인접, 원양어업기지로서의 모항구실도 하며, 어항기능만을 전담)…
부산항 남항 가호안 축조공사2 [사진] [건] (1962-12-31)

부산항 남항(1975년 부산항에서 분리 2종항으로 지정, 부산 어물시장이 부두에 인접, 원양어업기지로서의 모항구실도 하며, 어항기능만을 전담)…
한국 시민의 환영을 받는 그리스 다스카로포러스 대령 [사진] [건] (1950-12-09)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1부두의 장비 창고 [사진] [건] (1950-12-05)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두에 쌓인 자재 [사진] [건] (1950-12-05)

8부두에 쌓인 자재,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벨로션호에서 하선되는 의료기차(차량) [사진] [건] (1950-12-01)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2기지 우체국의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우편물 [사진] [건] (1951-04-27)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우편물을 싣고가는 차량의 뒷모습.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PROVO VICTORY호에 선적되어 미국으로 향하는 2기지 우체국 우편물 [사진] [건] (1951-04-27)

우편물을 선박내부에 내리는 모습.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미국으로 향하는 2가지 우체국 우편물 [사진] [건] (1951-04-27)

우편물을 선박에 싣기 위해 준비하는 모습.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4부두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석유드럼을 선적하는 모습 [사진] [건] (1951-06-09)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4부두에서 이전 방식으로 석유드럼을 선적하는 모습 [사진] [건] (1951-06-09)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노르웨이 의료지원단 부산 도착 [사진] [건] (1951-06-22)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배에 선적한 맥주 [사진] [건] (1951-06-22)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에 도착한 영국군 [사진] [건] (1951-06-25)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네덜란드군을 대체할 UN군 부산 도착 [사진] [건] (1951-06-29)

UN군들이 미소지으며 손을 흔들고 있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7수송부두에 근무하는 아틀란타 출신 미군 [사진] [건] (1951-06-29)

"US NAVY HOSPOTAL…REPOSE…"라는 문구가 적힌 선박 앞에 3줄로 대형을 맞추어 찍은 사진.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부산항에 정박한 미군 냉동선 [사진] [건] (1951-05-29)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복병산에서 영도 방향으로 찍은 부산항 전경 [사진] [건] (1950-08-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1부두(왼쪽)와 2부두(오른쪽) [사진] [건] (1948-08-30)

1부두는 제11의료부대의 기지가 있었으며 대부분 주한미군사령부에 제공하기 위한 물자가 공급되는 곳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석유보급소에서 55갤런 드럼을 점검하는 한국인 노동자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석유보급소에서 55갤런 드럼을 화차에 싣는 한국인 노동자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석유보급소에서 5갤런 휘발유통에 기름을 담고 있는 한국인 노동자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석유보급소에서 5갤런 휘발유통에 기름을 담고 있는 한국인 노동자2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야적장에서 생필품을 바지선에 싣는 모습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보급기지(55보급창)에서 포로를 위한 식량을 분리 적재하는 모습 [사진] [건] (1950-10-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조타실에서 바라본 부산항-자성대 매축지 방향 [사진] [건] (1946-05-2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한국인 부두하역 노동자 [사진] [건] (1948-03-0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2부두의 30톤 크레인 [사진] [건] (1948-03-08)

인천항에 있던 30톤 크레인을 열차로 부산에 옮겨왔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길에 쌓여 있는 물자 [사진] [건] (1948-03-08)

배에서 하역된 물자가 기차로 수송 되기 위해 철도 주변에 쌓여있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석탄을 하역하는 자이언트 크레인 [사진] [건] (1946-05-16)

자이언트 크레인은 석탄을 하역하는 데에 쓰였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일본에서 귀환하는 한국인 [사진] [건] (1945-10-12)

일본에서 귀환하는 귀환동포들의 모습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 북쪽 항구 전경 [사진] [건] (1946-05-08)

우암동에서 남부민동방향.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4부두에서 구봉산 방향 [사진] [건] (1946-05-0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철수 현장에서 일본군과 미군 [사진] [건] (1945-10-12)

철수 현장에서 일본군과 미군의 모습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철수하는 일본군인의 전형적인 모습 [사진] [건] (1945-10-12)

철수하는 일본군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철수하는 일본군의 몸수색을 하는 미군 [사진] [건] (1945-10-12)

철수하는 일본군의 몸수색을 하는 미군(철모 착용)의 모습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철수하는 일본군 [사진] [건] (1945-10-12)

광복 이후 부산항을 통해 철수하는 일본군의 모습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철수하는 일본군의 현금 소지 한도액을 검사하는 미군 헌병 [사진] [건] (1945-10-12)

당시 불법 현금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인은 1,000엔, 공무원은 500엔, 그외 사람들은 250엔을 소지하고 나갈 수 있었다.…
부산항의 창고와 기계류 [사진] [건] (1948-06-08)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국제여객터미널 [사진] [건] (2000년대)

국제여객터미널에 정박한 PanStar Ferry의 모습.
오페라하우스를 모방하여 만든 국제여객터미널 객사도 보임
55보급창에서 전선으로 이송되기 위해 적재된 식량 [사진] [건] (1950-09-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1잔교 선차발착장(第一棧橋船車發着場) [사진] [건] (날짜미상)

제1잔교의 모습. 엽서 좌측 상단 "釜山吳竹堂書店發行" 아래에 "鎭海灣要塞司令部檢閱濟"라고 인쇄되어 있음.
부산항잔교(釜山港棧橋)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의 모습. 엽서 하단 제목 옆에 "慶南7"이라 인쇄되어 있음
제 1잔교(第一棧橋) [사진] [건] (날짜미상)

제1잔교의 모습이 컬러사진으로 구현되어 있다.
제 1잔교(第一棧橋光景) [사진] [건] (날짜미상)

제1잔교의 모습이 흑백사진으로 구현 되어있음
잔교와 연락선(釜山棧橋と聯絡船)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에 부관연락선이 정박한 모습. 엽서 하단 제목 옆에 "慶南27"이라 인쇄되어 있음
해륙연락상황(海陸聯絡狀況)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에 부관연락선이 정박한 모습. 사진 하단에 "下ノ?釜山間聯絡は晝夜二回?地を發し棧橋上列車に聯絡す航海十一時間なり"라고 적혀 있다.
정기선과 잔교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항[釜山港], 철도[鐵道], 부관 연락선[釜關聯絡船]
부관연락선과 잔교(內鮮の關釜連絡船と釜山棧橋の宏壯)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에 부관연락선이 정박한 모습. 엽서 좌측 하단에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라고 인쇄되어 있음
잔교(釜山の棧橋)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에 부관연락선이 정박한 모습
잔교(棧橋の上陸) [사진] [건] (날짜미상)

잔교에 부관연락선이 정박한 모습
부관연락선 덕수환(關釜連絡船 德壽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덕수환의 모습. 엽서 좌측 하단 제목 옆에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라고 인쇄되어 있다.
부산항에 100만 번째 도착한 병사 [사진] [건] (1951-08-06)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항에 200만 번째 도착한 병사 [사진] [건] (1953-04-17)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산 부두의 사령부 건물 [사진] [건] (1953-10-1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동광동에서 부두 방향 [사진] [건] (1950-08-03)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제 2부두에 정박한 부산항 최초의 수로안내선 '보스코'와 미해군전함 [사진] [건] (1946-05-16)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부관연락선1(釜山海陸聯絡狀況) [사진] [건] (날짜미상)

사진 하단에 "下ノ?釜山間聯絡は晝夜二回?地を發し棧橋上列車に聯絡す航海十一時間なり"라고 적혀 있다.
부관연락선2(釜山海陸聯絡狀況)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모습
부관연락선3(釜山港鐵道連絡船 鴨綠江鐵道連絡船) [사진] [건] (1940이전)

나뭇잎과 새가 그려진 배경 위에 두 장의 사진이 있다. 좌측 상단에는 부산항과 연락선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있으며 우측 하단에는 압록강 철도…
부관연락선4(內地下關と釜山を結ぶ關釜連絡船) [사진] [건] (날짜미상)

일본 시모노세키와 부산을 연결하는 부관연락선. 엽서좌측하단에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라고 적혀있다.
부관연락선5 ((朝鮮大觀)釜山棧橋に於ける關釜連絡船) [사진] [건] (날짜미상)

엽서좌측하단에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라고 적혀있다.
부관연락선6(山陽鐵道會社解散記念繪葉書) [사진] [건] (날짜미상)

그림 배경 위에 세 개의 사진이 있다. 중앙의 좌측에는 "關釜連絡氣船"의 사진이 있고 중앙의 우측에는 "山陽ホテル(산요호텔)"의 전경 사진이…
부관연락선7(關釜連絡船)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의 모습과 엽서 좌측 하단에 시모노세키에서 부산까지 거리를 측정한 지도가 있다. 우측 하단에는 "鎭海要塞司令部檢閱濟"라고 적혀있다.
부관연락선8(關釜連絡汽船 景福丸·德壽丸·昌慶丸 總?ㅁ數 三六二ㅇ? 速力 二ㅇ節) [사진] [건] (날짜미상)

그림엽서 좌측 하단에 부관연락선 사진이 있고, 엽서 뒷면에는 부관연락선 발착시각이 인쇄되어 있는데, 하행은 시모노세키 출발(오전 10시 30분,…
부관연락선9(關釜連絡汽船 景福丸·德壽丸·昌慶丸 總?ㅁ數 三六二ㅇ? 速力 二ㅇ節) [사진] [건] (날짜미상)

그림엽서 우측 상단에 부관연락선 사진이 있고 엽서 뒷면에는 부관연락선 발착시각이 인쇄되어 있는데, 하행은 시모노세키 출발(오전 10시 30분,…
부관연락선10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잔교에 정박한 부관연락선의 모습
부관연락선11(關釜連絡汽船 景福丸·德壽丸·昌慶丸 總?ㅁ數 三六二ㅇ? 速力 二ㅇ節) [사진] [건] (날짜미상)

그림엽서 좌측 하단에 부관연락선 사진이 있고 오른쪽에는 "出帆後四時間にて昌慶丸と景福丸の姉妹船 かはる"라 필기되어 있다. 엽서 뒷면에는 부관연락선…
부관연락선 경복환1(關釜連絡船景福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경복환의 모습. 제목 좌측 상단에 "鎭海灣要塞司令部檢閱濟"이라고 인쇄되어 있다.
부산항 부두조명장치 시점식 홍보아치 [사진] [건] (1957-04-30)

부산항 부두 조명장치 시점식 아치 모습
부산항 부두 조명장치3 [사진] [건] (1957-04-30)

부산항 부두 조명장치 가동 모습
부관연락선 고려환1(高麗丸) [사진] [건] (1912년 이전)

꽃과 리본 그림을 배경으로 두 개의 사진이 있다. 좌측 하단에는 철도기관차의 사진이고 우측 상단에는 부관연락선인 고려환의 항해 모습이 담긴…
부산항 부두 조명장치 시점식1 [사진] [건] (1957-04-30)

부산항 부두 조명장치 시점식 모습
부관연락선 고려환2(關釜連絡船高麗丸) [사진] [건] (날짜미상)

일장기를 단 고려환이 정박해 있는 모습
미국 소 부산항 도착 4 [사진] [건] (1957-08-06)

1957년 미국 소 부산제2항 도착
미국 소 부산항 도착 6 [사진] [건] (1957-08-06)

1957년 미국 소 부산제2항 도착
미국 소 부산항 도착7 [사진] [건] (1957-08-06)

1957년 미국 소 부산제2항 도착
전쟁보급물자 부산항 양륙 [사진] [건] (1950)

부산항에 양륙(揚陸)중인 전쟁보급물자
부관연락선 금강환1(港を後に) [사진] [건] (날짜미상)

항해중인 부관연락선 금강환의 모습. 제목(엽서 우측 하단)의 좌측에 일본어로 설명이 되어 있는데, 부산을 조선의 남단에 위치한 천혜의 양항이며…
전쟁보급물자 및 전쟁장비 부산항양륙 [사진] [건] (1950)

부산항에 양육(揚陸)된 각종 보급물자와 전쟁장비
부산항 3단계 개발 신선대 콘테이너 부두 조감도 [사진] [건] (1991-12-30)

부산항 3단계 개발 신선대 콘테이너 부두 조감도
부산항 신선대 콘테이너 부두 준공식2 [사진] [건] (1991-12-30)

부산항 신선대 콘테이너 부두 준공식
사파이어 프린세스 호 [사진] [건] (2000년대)

국제 크루즈 터미널에 정박한 사파이어프린세스호
제 1부두 [사진] [건] (2000년대)

부산항 제1부두의 전경
제 8부두 [사진] [건] (2000년대)

부산항 제8부두의 전경
부관연락선 금강환2(海上の豪華船)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인 금강환이 항해하는 모습이 채색된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부관연락선 금강환3(關釜連絡船·金剛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인 금강환이 항해하는 모습이 채색된 그림으로 그려져 있고 엽서 좌측에 일본어로 금강환에 대한 설명(총톤수 7100톤)이 되어 있다.…
부관연락선 금강환4(關釜連絡船 金剛丸) [사진] [건] (날짜미상)

한반도 모양과 갓과 장죽(담뱃대) 그림을 배경으로 부관연락선 금강환이 항해하는 모습의 사진이 있다. 사진 아래에 금강환에 대해 "關釜連絡船…
부관연락선 덕수환2(釜山第一棧橋-連絡船 德壽丸) [사진] [건] (날짜미상)

증기를 뿜고 있는 덕수환(TOKUJUMARU)이 잔교에 정박해 있고, 선로 위 수레에 사람들이 앉아 있다. 가마니들이 쌓여 있다.
부관연락선 덕수환3(關釜連絡船 德壽丸 出港)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의 모습. 제목 좌측 위로 "鎭海灣要塞司令部檢閱濟"이라고 적혀 있다.
부관연락선 대도환1(關釜連絡船式堂(壹岐·對島丸)) [사진] [건] (날짜미상)

컬러 그림에 우측 상단에 부산항의 사진, 좌측 하단에 부관연락선 대도환의 식당 내부 사진이 있다.
부관연락선 대마환(關釜連絡船對馬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대마환이 정박해있는 모습
부관연락선 박애환(關釜連絡船傳愛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박애환이 정박해있는 모습
부관연락선 사쿠라환1(さくら丸) [사진] [건] (1944-05-14이전)

사쿠라환이 부산잔교에 정박해 있는 모습. 엽서 하단에 사쿠라환의 길이와 폭, 톤수와 속력(길이 340척, 폭 42척, 톤수 3204톤, 속력…
부관연락선 사쿠라환2(さくら丸) [사진] [건] (1944-05-14이전)

사쿠라환이 부산잔교에 정박해 있는 모습.
부관연락선 신라환2(關釜連絡汽船 新羅丸)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인 신라환이 항해하는 모습. 엽서 좌측 상단에 꽃잎 모양의 마크가 인쇄되어 있는데 마크 안에 "關釜連絡汽船 新羅丸就航記念"이라고 되어…
부관연락선 창경환1(關釜連絡の巨船橫着けせる第一棧橋) [사진] [건] (날짜미상)

제1잔교에 거대한 부관연락선이 횡착한 모습. 엽서 우측 하단에 "鎭海灣要塞司令部許可濟"라고 적혀있다.
부관연락선 창경환2(關釜連絡船) [사진] [건] (날짜미상)

사진 속 배의 이름은 "昌慶丸(SHOKEIMARU)"라고 되어 있다. 제목 아래에 배에 대한 설명이 있다. "톤수: 삼천육백십구통, 건조비:…
부관연락선 창경환3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창경환의 모습
부관연락선 흥안환1(黑煙を吐いて) [사진] [건] (날짜미상)

항해중인 흥안환의 모습. 우측 하단에 부산을 "天然의 良港, 東亞의 關門"으로 소개하고 있다. 엽서 뒷면에 "HINODE-SYOKO SEOUL…
부산항 [사진] [건] (1882)

1876년 개항 후 부산항 모습을 보여주는 최초의 사진으로, 현재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자리한 옛 용미산에서 중앙동 광산병원에 이르는 당시의…
매축 중인 부산항 [사진] [건] (1903)

1902~1905년 사이에 실시된 부산 북항 매축 모습이다. 이 공사는 부산북항매축 1단계 공사로 지금의 부산데파트에서 부산 우체국 뒷길을 거쳐…
부관연락선 터미널 [사진] [건] (1908)

1905년부터 개설된 부관연락선 터미널은 지금의 연안여객터미널 앞 바다에 잔교 형태의 터미널이 있었는데, 이 사진은 부관연락선 잔교를 이용하는…
부산부두 노무자 [사진] [건] (1910)

용두산 아래 해관(세관)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산항은 부관연락선 터미널도 함께 있어 많은 조선인 부두 노무자들과 지게 날품팔이 일꾼들의…
제 1잔교 부두 부관연락선 승선장 [사진] [건] (1925)

승선장 설비공사 완공일은 1925년 11월 11일로 그 이후에 촬영한 사진이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2차선 대마환(對馬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05년 11월 1일 첫 취항하여 1925년 12월 17일까지 20년간 운항하였다. 제1차선 일기환(壹岐丸)과는 동형선이다. 김재승…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3차선 고려환(高麗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13년 1월 13일에 첫 취항하여 1932년 10월 30일까지 20년간 운항하였다. 제4차선 신라환(新羅丸)과는 동형선이다. 김재승…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4차선 신라환(新羅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13년 4월 5일 첫 취항하여 1945년 5월 25일까지 32년간 운항하였다. 1945년 5월 25일 미 공군 B29에서 투하한 기뢰에…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5차선 경복환(景福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22년 5월 18일 첫 취항하여 1945년 7월 30일까지 23년간 운항하였다. 제6-7차선 덕수환(德壽丸), 창경환(昌慶丸)과는…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6차선 덕수환(德壽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22년 11월 12일 첫 취항하여 1957년 9월까지 35년간 운항하였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7차선 창경환(昌慶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23년 3월 12일 첫 취항하여 1955년 12월까지 32년간 운항하였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8차선 금강환(金剛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36년 11월 16일 첫 취항하여 1951년 10월 14일까지 15년간 운항하였다. 제9차선 흥안환(興安丸)과는 동형선이다. 김재승…
부관연락선 신조(新造) 제9차선 흥안환(興安丸) [사진] [건] (날짜미상)

1937년 1월 13일 첫 취항하여 1950년 3월 1일까지 13년간 운항하였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부산항 2부두 [사진] [건] (1950-08-06)

유엔군의 참전으로 1950년 8월 6일 부산항 제2부두에 상륙한 미군과 군수물자의 모습이다. 출처 :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부산항 제2부두의 군수물자 [사진] [건] (1950-10-02)

유엔군의 참전으로 1950년 8월 6일 부산항 제2부두에 상륙한 미군과 군수물자의 모습이다. 출처 :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부산의 전시(戰時) 입대 장정들 [사진] [건] (1950-08-01)

1950년 8월 1일 부산 대창동 거리를 지나 입영소로 가는 장정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미국 취항 첫 화물선 고려호 [사진] [건] (1952-10)

태극기를 게양하고 태평양을 건너 미국으로 처음 취항했던 극동해운 소속 화물선 고려호이다. 적재톤수 1만톤급 화물선을 취항하는 날 이승만 대통령이…
부산항 파노라마 전경 [사진] [건] (1905)

미국 북장로교 선교회가 부산으로 파송한 선교사 Richard Sidebotham 목사가 현재 중구 대청동 4가 언덕 위에서 촬영한 파노라마…
120여년 전의 부산 남항과 자갈치 해안 [사진] [건] (1885)

1885년 천연상태의 자갈치 해안과 나무가 무성한 용두산, 용미산 전경이다. 샛띠벌(현 부평동) 어민들이 설치한 정치망 그물이 이색적이다.…
용두산 동쪽의 부산포 내항 전경1 [사진] [건] (1887)

쌍산(雙山, 현 중부경찰서 뒷편)의 가장자리에는 어선이 정박해 있고, 작은 방파제가 조성되어 있다. 기와집은 부산포 어민들의 가옥으로,…
용두산 동쪽의 부산포 내항 전경2 [사진] [건] (1888)

1887년 용두산 동쪽 해안지대로, 해안선이 매축되기 전의 모습이다. 촬영자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뉴욕에서 1907년에 출판한 Burton…
해관부두에 상륙한 청일전쟁 참전 일본육군 [사진] [건] (1894)

1894년 10월 27일 《The Graphic》지에 보도된 청일전쟁 참전차 부산항에 상륙하여 해관 청사 앞 부두에 도열한 일본 육군을 찍은…
해관장 관사에서 바라본 부산 북내항 [사진] [건] (1887-09-15)

북내항에 정박해 있는 많은 함선은 영국 군함이며, 정원의 회초 중에는 대형 소철도 보인다. 사진 뒷면에는 1887년 9월 15일 촬영한 것이라…
해관부두에서 수출용 해초를 양륙하는 범선들 [사진] [건] (1902)

1902년 Herbert George Ponting이 촬영한 사진으로, 앞에 보이는 산은 남부민동 천마산이다. 남해안 각지에서 수집한 해초(주로…
매립과 도심지 개발이 시작되는 부산항 [사진] [건] (1902)

부산 북항 북빈부두 공사를 위한 호안 매축이 시작될 때에 찍은 용두산 동쪽 해안 일대로, 현재 중구 동광동 1가와 중앙동 지역이다. 김재승…
중구 중앙동 해안 일대 [사진] [건] (1908)

잔교부두에 부관연락선이 접안해 있고, 북빈부두의 호안공사가 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1908년경의 중앙동 해안일대이다. 매립지는 아직도 공터로…
중구 중앙동 일대의 개발 모습 [사진] [건] (1910년대 초)

2부두와 부산역은 미준공 상태이며, 부산세관과 1부두만이 정상적으로 가동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910년대 초반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철도 잔교부두 [사진] [건] (1910년대 초)

부두에 정박해 있는 선박이 부관연락선 대마환(對馬丸)이다. 부두 앞 3층 건물은 철도호텔이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북빈부두 물량장에 쌓인 부산해관 신축용 자재 [사진] [건] (1900년대 말)

부산세관 신축공사는 1905년 제1부두 확장공사와 함께 추진되어 1910년 11월에 준공되었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북빈부두 뒷골목 풍경 [사진] [건] (1910년대 중)

해관부두 뒷골목에 보이는 조선인 지게꾼과 부두 노무자 사진이다. 부두에서 고된 노동력은 저임금 속에서 이들이 담당하였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1902년경의 부산항 축항모습 [사진] [건] (1902)

1902년경의 부산항축항모습을 담고 있는 모습이다. 출처 : 월간 바다저널 11월호.
1910년 부산항 [사진] [건] (1910)

1910년경의 부산항 전경을 담고있는 모습이다. 출처 : 월간 바다저널 11월호.
1902년경의 부산항 축항모습 2 [사진] [건] (1902)

1902년경의 부산항축항모습이다. 출처 : 월간 바다저널 11월호.
개항당시의 부산항 [사진] [건] (날짜미상)

개항 당시의 부산항 전경이다. 다만,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다.
부산항 광역개발 기본계획 평면도 [사진] [건] (1989)

부산항은 그 당시 국토교통부의 동남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개발의 목적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부산항 북항계획 평면도 [사진] [건] (1989)

부산항은 그 당시 국토교통부의 동남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개발의 목적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부산항남항계획 평면도 [사진] [건] (1989)

부산항은 그 당시 국토교통부의 동남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개발의 목적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부산항전경 [사진] [건] (날짜미상)

인천시립 박물관 소장 사진. 류춘구 외, 근대한선韓船과 조선造船도구,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008.
부산잔교에 있는 부관연락선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은 대한민국의 부산(釜山)과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 하관)를 왕복하는 국제 여객선이다. 1905년 9월 11일에 최초의…
부산항에 정박한 정크선의 노동자 [사진] [건] (날짜미상)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개항시기 혹은 일제강점기로 추정되고 부산항에 정박한 정크선에 있는 노동자들의 모습이다. 출처 : 인천시립 박물관…
부산항 선박 계류광경 [사진] [건] (날짜미상)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개항시기로 추정되고 부산항에서 선박이 계류하는 모습이다. 출처 : 인천시립 박물관 소장 사진. 류춘구 외,…
부산항 잔교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잔교역(釜山棧橋驛)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했던 경부선의 역이었다. 경부선의 종착역인 부산역에서 선로를 연장하여 지금의 부산 제 1부두에…
부산항 [사진] [건] (1917)

이 지도는 1917년 조사되어 1917년 일본해군에 의해 출판되었다. 크기가 커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스캔하였고, 이 후 컴퓨터작업으로 합친…
부산항 [사진] [건] (1875)

이 해도는 1875년 7월 일본국 해군함정 제2정묘호 사관들이 부산항을 측량하고 곧 이어 일본해군수료로에서 발생한 것으로 원도면의 크기는…
100년전의 부산항 파노라마 사진 [사진] [건] (날짜미상)

100년전의 부산항 모습을 파노라마 기법으로 담은 사진이다.
출처 : 니키 타카오, (우호교류를 지켜온•고난의 4000길로)조선 통신사의 길,…
100년후 부산항 모습 [사진] [건] (날짜미상)

100년전의 부산항 모습을 파노라마 기법으로 담은 사진이다.
출처 : 니키 타카오, (우호교류를 지켜온•고난의 4000길로)조선 통신사의 길,…
용두산 동쪽의 부산포 내항 전경 [사진] [건] (1887)

쌍산의 가장자리에는 어선이 정박해 있고 작은 방파제가 조성되어 있다. 기와집은 부산포 어민들의 가옥으로, 초량해로 부르는 이 곳내항은 청어를…
북항에 정박중인 일본기선 [사진] [건] (1884)

1884년 북항에 정박중인 일본기선 肥後丸와 美濃丸.자갈로 쌓인 방파제는 1678년(숙종4년) 초량왜관을 조성할 만든 船溜楊이며, 증기선은…
120년전의 부산 남항과 자갈치 해안 [사진] [건] (1885)

120년전인 1885년 천연상채의 자갈치 해안과 나무가 무성한 용두산, 용미산의 전경
포산항견취도 일부 [사진] [건] (1881)

개항초기 부산포 채색화
부산근대역사관에서 전시중
제작년도 명치14년 기재
祝定一이 소장자로 명시
어느 일본인 화가가 그렸을 것으로…
부산 옛지도 [사진] [건] (1834)

대동여지도에서 보이는 부산 일대의 모습이다.
부산 인공위성사진 [사진] [건] (2002)

2002년 당시 부산의 모습을 위성으로 찍은 모습이다.
부산 북항에 정박중인 해원(선원)양성소 때의 양무호 [사진] [건] (1908)

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은 대한민국의 부산(釜山)과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 하관)를 왕복하는 국제 여객선이다. 1905년 9월 11일에 최초의…
해방후 최초의 대미취항선 고려호 [사진] [건] (1952-10-03)

부산항에서 촬영한 사진
고려호는 '미스 코리아(M.S. KOREA)호'라는 애칭을 함께 쓰고 있었고 이것이 더 유명했다.
6,819톤급이고…
부산항 1부두에서 거행된 고려호의 대미 첫 취항식 광경 [사진] [건] (날짜미상)

1952년 10월 21일 취항식의 모습이다.
고려호는 '미스 코리아(M.S. KOREA)호'라는 애칭을 함께 쓰고 있었고 이것이 더…
부산 북항에 정박중인 일본 증기선 비후환과 미농환 [사진] [건] (1884)

부산 북항에 정박중인 일본 증기선 備後丸은 사진 속 좌측의 배로 총톤수 1,350톤이고 영국이 건조했다.
美濃丸은 사진 속 우측의 배로 총통수…
부산국제여객터미널 전경 [사진] [건] (날짜미상)

국내에 국제 정기 여객선이 취항하고 있는 5개 지역 중 하나이다.(인천, 부산, 평택, 군산, 속초)
이중 부산에 12척의 국제여객선이…
북항재개발 계획 대안 1안의 조감도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공론조사를 한 후 채택된 조감도이다.
부산 내항의 잔교부두 [사진] [건] (1905년 말)

잔교부두는 현재 연안여객부두 후면이다.
사진 속에서 좌측 선박이 항내에 정박중인 부관연락선 제1차선 일기환壹岐丸이며, 우측 해면 위로 길게…
부관연락선 제1차선 일기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05년 9월 11일 첫 취항하여 1931일 5월 11일까지 26년간 운항하였다.
부관연락선 제1차선 일기환의 3등선실 [사진] [건] (날짜미상)

부관연락선 제 1차선인 일기환의 내부에 있는 3등선실의 모습이다.
제1부두에 접안된 제2차선 대마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05년 11월 1일 첫 취항하여 1925년 12월 17일까지 20년간 운항하였다.
사진속에 對馬丸 뒤편 3층 양옥은 부산철도호텔이다.
부관연락선 제3차선 고려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13년 1월 13일 첫 취항하여 1932년 10월 30일까지 20년간 운항
오늘날 국내외의 각종 기록에서 고려환의 선명을 대부분 착오하고…
부관연락선 제4차선 신라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13년 4월 5일 첫 취항하여 1945년 5월 25일 미공군 B29에서 투하한 기뢰에 부딪쳐 침몰하였다.
부관연락선 제5차선 경복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22년 5월 18일 첫 취항하여 1945년 7월 30일까지 23년간 운항하였다. 총톤수는 3,620톤이다.
부관연락선 제6차선 덕수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22년 11월 12일 첫 취항하여 1957년 9월까지 35년간 운항하였다. 총톤수는 3,620톤이다.
부관연락선 제7차선 창경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23년 3월 12일 첫 취항하여 1955년 12월까지 32년간 운항하였다. 총톤수는 3,620톤이다.
부관연락선 제8차선 금강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36년 11월 16일 첫 취항하여 1951년 10월 14일까지 15년간 운항하였다. 총톤수는 7,082톤이다.
부관연락선 제9차선 흥안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37년 1월 13일 첫 취항하여 1950년 3월 1일까지 13년간 운항하였다. 총톤수는 7,080톤이다.
부관연락선 제10차선 천산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42년 9월 27일 첫 취항하여 3년만인 1945년 7월 28일 미공군기 공습으로 침몰한 연락선으로 총톤수는 7,907톤이다.
부관연락선 제11차선 곤륜환 [사진] [건] (날짜미상)

1943년 4월 12일 첫 취항하여 6개월만인 1943년 10월 5일 미해군 잠수함 어뢰에 격침된 불운했던 연락선이다. 총톤수는…
부관연락선 첫 화물전용선 일기환(Ⅱ) [사진] [건] (날짜미상)

1940년 11월 30일 첫 취항하여 1948년 6월 5일까지 8년간 운항하였다. 19445년 8월 7일 원산항 부근에서 미군어뢰에 부딪쳐…
부산타워에서 본 부산항 [사진] [건] (날짜 미상)

부산타워에서 본 부산항으로써 사진의 가운데에 있는 것은 영도이다.
부산항의 아침 [사진] [건] (날짜미상)

부산대교를 배경으로 한 부산항의 아침 모습이다.
부산항요도 [사진] [건] (1934)

1934년에 만들어진 부산항을 배경으로 하는 지도다.


이미지 파일이
없습니다

현존하는 컨테이너선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큰 9600teu급 선박이 6월 27일 부산항 감만부두 대한통운 터미널에 처녀 기항했다
시라기마루(新羅丸) 부관연락선 [사진] [건] (날짜미상)

http://kale.com.ne.kr/history-1.htm
[우리문화,우리역사] 부관연락선에서 투신한 그들의 혼을 찾아서
死의 讚美…
부산 간선도로와 남항축조공사 준공도 [사진] [건] (날짜미상)

영도대교 주변일대의 평면도
준공평면도라는 제목에 부산대교측면도/방파제단면도/A-A단면도 가 함께 있다.
부산항 [사진] [건] (2009-10-06)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인 부산항은 876년에 부산포라는 명칭으로 개항하였다. 안벽 3만 709.4m로 201척의 선박이 접안 가능하며, 정박지는…
6000t급 화물선 진수 [사진] [건] (1960년대)

대한 조선공사 6000t급 화물선 진수식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관부 연락선 경복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경복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고려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고려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곤륜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곤륜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금강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금강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금강환 내부 얼개도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했던 관부 연락선 금강환의 내부 얼개도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금강환 특등실 [사진] [건] (날짜미상)

관부 연락선 금강환 특등실의 모습이다. 출처 :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관부 연락선 다희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다희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대마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대마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덕수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덕수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신라환 [사진] [건] (1905~1945)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부산항과 시모노세키항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행한 관부 연락선 신라환의 모습이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10차선 천산환 [사진] [건] (1942-09-27~1945-07-28)

관부 연락선 신조 제10차선 천산환의 모습이다. 1942년 9월 27일 첫 취항하여 1945년 7월 28일까지 3년간 운항 했으나 미 공군기…
관부 연락선 신조 제11차선 곤륜환 [사진] [건] (1943-04-12~1943-10-05)

관부 연락선 신조 제11차선 곤륜환의 모습이다. 1943년 4월 12일 첫 취항하여 6개월 만인 1943년 10월 5일 미해군 잠수함이 발사한…
관부 연락선 신조 제1차선 대마환 [사진] [건] (1905-11-01~1925-12-17)

관부 연락선 신조 제1차선 대마환의 모습이다. 1905년 11월 1일 첫 취향하여 1925년 12월 17일까지 20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2차선 일기환 [사진] [건] (1905-09-11~1931-05-11)

관부 연락선 신조 제2차선 일기환의 모습이다. 1905년 9월 11일 첫 취항하여 1931년 5월11일까지 26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3차선 고려환 [사진] [건] (1913-01-13~1932-10-30)

관부 연락선 신조 제3차선 고려환의 모습이다. 1913년 1월 13일 첫 취향하여 1932년 10월 30일까지 약 20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4차선 신라환 [사진] [건] (1913-04-05~1945-05-25)

관부 연락선 신조 제4차선 신라환의 모습이다. 1913년 4월 5일 첫 취항하여 1945년 5월 25일까지 32년간 운항하였고 1945년 5월…
관부 연락선 신조 제5차선 경복환 [사진] [건] (1922-05-18~1945-07-30)

관부 연락선 신조 제5차선 경복환의 모습이다. 1922년 5월 18일 첫 취향하여 1945년 7월 30일까지 23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6차선 덕수환 [사진] [건] (1922-11-12~1957-09)

관부 연락선 신조 제6차선 덕수의 모습이다. 1922년 11월 12일 첫 취향하여 1957년 9월까지 35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7차선 창경환 [사진] [건] (1923-03-12~1955-12)

관부 연락선 신조 제7차선 창경환의 모습이다. 1923년 3월 12일 첫 취항하여 1955년 12월까지 32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8차선 금강환 [사진] [건] (1936-11-16~1951-10-14)

관부 연락선 신조 제8차선 금강환의 모습이다. 1936년 11월 16일 첫 취항하여 1951년 10월 14일까지 15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신조 제9차선 흥안환 [사진] [건] (1937-01-13~1950-03-01)

관부 연락선 신조 제9차선 흥안환의 모습이다. 1937년 1월 13일 첫 취항하여 1950년 3월 1일까지 13년간 운항하였다.
관부 연락선 용선 선박 다희환 [사진] [건] (날짜미상)

관부 연락선 용선 선박 다희환의 모습이다. 화물과 승객의 증가에 따라 임시 용선 선박이 자주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