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컬렉션

× 기록컬렉션은 부산 지역의 역사와 관련하여 그동안 수집하고 기증받은 다양한 기록들을 기록 유형별로 컬렉션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유형별로 어떤 기록이 들어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컬렉션 링크들 중 원하시는 링크를 클릭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시민 여러분께서 기증하신 기록이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록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언제든 아카이브 담당자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동래부 동헌 4건

동헌은 일명 아헌(衙軒)이라고도 하며, 조선시대 수령이 직접 공무를 처리하던 곳으로 이청(吏廳), 무청(武廳), 향청(鄕廳) 등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동래부는 정3품 당상관(堂上官)이 부사(府使)로 임명되고, 국방 및 대일외교상 중요시되었던 곳이므로 관아시설도 위용을 갖출 필요가 있어 다른 고을에 비해 규모가 컸다.
충신당에는 그 부속건물로 좌우의 연심당(燕深堂), 독경당(篤敬堂)과 대문, 외대문인 독진대아문(獨鎭大衙門), 그 바깥 문루인 망미루가 있었다. 그러나 독경당은 파괴·철거되었으며, 망미루와 독진대아문은 지금의 금강공원 입구와 금강공원 안으로 옮겨 세웠다. 충신당만은 본래의 위치에 외롭게 보존되어 있으나, 부지(敷地)는 축소되었고, 원래 떨어져 있었던 연심당이 충신당에 너무 가까이 이건되어 갑갑한 느낌을 준다.
현재의 동헌 건물은 1636년(인조 14) 동래부사 정양필(鄭良弼)이 창건하여 1711년(숙종 37) 부사 이정신(李正臣)이 충신당이라는 편액(扁額)을 붙인 뒤로 충신당이라 일컬어졌는데, 조선시대 말까지 동래부와 동래관찰사의 아헌으로 사용되었다.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인 충신당은 우리나라 고유의 목조기와 단층집으로 원래는 방과 마루가 함께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 앞면에는 각 칸마다 분합문(分閤門)이 부착되어 있지만 이 역시 원래 모습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동헌은 일제시기부터 관청 건물로 사용되면서 벽면, 평면구조, 천장, 마루 등이 많이 개조된 데다 보수를 거치면서 목재 등의 재료가 대부분 교체되어 본래의 모습을 많이 잃고 있으나, 부산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유일한 동헌이며,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동래부 동헌 내부 동익랑 [사진] [건] (2011-09-29)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호 동래부동헌의 동익랑 모습이다. 충신당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동익랑은 동헌의 안살림을 맡아하는 다모방으로 사용되었다.
동래부 동헌 입구 [사진] [건] (2011-09-29)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호 동래부동헌의 입구 모습이다. 동래부 동헌은 부산지방에 현존하는 조선시대 단일 건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유일하게…
동래부 동헌 충신당 [사진] [건] (2013-10-26)

1636년 부사 정량필이 창건한 동래부 동헌 충신당의 전경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겹처마 건물 건물이다.
동래부 동헌 [사진] [건] (1900년대)

조선 후기 동래부의 관아 건물 동래부 동헌 전경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