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섹션

× 전시섹션 페이지에서는 전시 주제별로 구분된 전시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시 콘텐츠는 PNU로컬리티아카이브에서 직접 수집하거나 기증 받은 다양한 기록들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시민 여러분들이 기록 기증과 수집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면 전시 콘텐츠가 보다 알차고 풍부해 질 것입니다.

다대포 후리소리

다대포

 부산광역시의 서남단에 있는 소만입이다. 낙동강하구 최 남단에 있는 다대반도와 두송반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5개의 작은 소만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 시내에서 17㎞ 지점에 위치해 있다.

 지명의 유래는 큰 포구가 많은 바다라는 데서 비롯되며, 《일본서기 》에는 다다라()로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일찍부터 왜구의 출몰이 잦았으며, 따라서 국방상 중요한 요새지였다. 조선 세종 때는 이곳에 수군만호영을 설치, 수군 123인과 병선 9척을 배치하였고, 성종 때는 높이 4m, 둘레 560m의 다대포진을 축성한 바 있으며, 임진왜란 때 다대포첨사였던 윤흥신()과 그 동생 흥제()가 왜군과 접전을 벌여 전사한 유서 깊은 곳이다.

 

해설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대포 후리소리

 부산광역시 다대포에 전승하는 멸치 후리질소리이다. 1987년 7월에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다대포는 수심이 5∼7m밖에 안되는 아담한 어장으로 1960년대 초엽까지도 소규모나마 후리그물로 멸치잡이를 했었다.

 멸치잡이를 나갈 때면 해질 무렵에 언덕 위의 망대[]로 올라가서 멸치떼의 동정을 살핀다. 짐작이 가는 데가 있으면 낫개(의 동쪽에 위치함)로 내려와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아가 확인한 다음 징을 울려 신호한다.

 어부들이 모여 들어 그물을 배에 싣고 바다로 나가 멸치떼를 둘러싸고 그물을 친다. 그물을 다 치면 해변에서 벼릿줄을 당긴다. 해변으로 끌어 올린 그물에서 고기를 털어 모으면 아낙들이 소쿠리로 멸치를 퍼 나른다.

 다대포 후리소리는 1987년도에 제28회 전국 민속 예술경연대회 출전을 계기로 알려졌으며, 작업과정의 어로요()에다 용왕제와 풍어놀이를 곁들여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1. 후리그물을 배에 실을 때의 사리소리:(받음소리)에-헤 사리야 (메김소리)사려보세 사려보세/그물한채를 사려보세/멸치잡아 무엇하리/열두독 젖을담아/황금빛에 맛들거든/첫째독은 헐어다가 2. 용왕제:“비나이다 비나이다 용왕님께 비나이다. 동해바다 용왕님요……육지에는 풍년들고 바다에는 풍어들어 부귀영화를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소원성취를 비나이다”

3. 그물 내가면서 노 저을 때의 이여사소리 4. 해변에서 수십 명의 어부들이 양쪽에 늘어서서 벼릿줄을 당길 때 부르는 후리소리:(받)에-여차 땅겨나 주소 (메)용왕님의 은덕으로/메러치 풍년이 돌아왔네

5. 그물을 털고 멸치를 가운데로 모으기 위해 그물을 쪼으면서 부르는 산자소리:“그물 다 땡겼으니 불통을 쪼읍시다” (받)에- 산자 (메)많이도 들었구나/오뉴월/삼복 더위에/황소 붕알같이/늘어졌구나/어데서 놀다가/이제사 왔나/기장 바다에서/놀다 왔나/대마도 바다에서/놀다 왔나/학수고대/기다린 메러치/오늘날에/당도하였네/너무나 쪼으다가/불통이 터지면/고생한 것이/허사가 돼요/그만 쪼으고/메러치를 풉시다

6. 멸치를 퍼담을 때의 가래소리:(받)어-넝청 가래로다 7. 풍어소리 (쾌지나 칭칭 나아네).

1·4·6·7은 (메)와 (받)이 각각 3분박 4박 1마디씩인데 비해 3·5는 그 절반인 3분박 2박 1마디씩이다. 이들 모두 칭칭이와 같은 선법이다.

해설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래의 전시는 1980년대, 90년대와 2010년대의 다대포후리소리 시연모습을 보여준다. 출처는 사하구청,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