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포역사(龜浦驛史)22 [문서] [건] (2011-01-13)

ABBBF00022.jpg

표제 : 구포역사(龜浦驛史)22 [문서] [건] (2011-01-13)


내용 : 구포역사(龜浦驛史)는 1925년에 제작되어, 총 151페이지로 2005년까지 작성기록이 있다. 물리적 외관은 철끈으로 편철되었으나, 제작된 지 오래되어 전 페이지에 황반현상이 관찰되고 일부 페이지는 편철에서 떨어져나가 있거나 끝부분이 너덜너덜 해졌다.

역사의 수록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혁이다. 일본어로 구포역의 연혁을 기록했다.
두 번째, 역대역장이다. 명치37년(1904년)에서 1993년 까지 역대 역장의 재임기간, 신분(직급 및 성명을 기재했다.
세 번째, 역무와 관련된 역장의 소감으로 대정 14년때부터 2005년까지 역대 역장(총 26명)이 근무하면서 느낀 소감 등을 일본어, 한자, 한글 등으로 기재했다.
네 번째, 연도 말 역원 총 수로 명치 40년(1907년)에서 1986년까지 연도별 구포역 역원수를 직급별로 분류하여 기재했다.
다섯 번째, 연도 말 구내 선로의 연장 및 변천이다. 명치 36년(1903년)부터 1986년까지 역구내의 선로길이를 본선, 부본선, 측선 등으로 분류하여 그 단위를 기재했다. 단기 4291년(1958년)부터는 관사, 구름다리, 화물홈상옥, 승강장맞이방 등의 면적 등도 함께 기재했다.
여섯 번째, 신호기기의 타 운전설비 변천이다. 대정 13년(1924년)부터 1993년도까지 신호기기의 변화 등을 일본어 및 한자, 한글로 서술했다.
일곱 번째, 연도 말 열차운전횟수다. 대정 5년(1916년)부터 1986년까지 상, 하행으로 여객열차, 화물열차 등의 운행횟수를 기록. 급행여객, 여객, 혼합, 화물로 분류했다가 1981년부터는 새마을호, 우등, 통일호, 비둘기, 소화물, 화물 등으로 분류 기재했다. 다만, 1959~1980년 사이는 기재된 것이 없다.
여덟 번째, 여객 및 화물관계설비의 변천이다. 명치 36년(1903년)부터 1981년까지 ‘1963년 2월 5일 역내에 마이크를 설치함’과 같이 역내 여객 및 화물과 관련한 장비의 변천을 기재했다.
아홉 번째, 연도별 여객승강 인원 및 화물 발착수량이다. 대정 1년(1912년)부터 1986년까지 역의 타고 내리는 인원 및 화물의 착발량을 기재했다. 다만, 1959~1980년 사이는 기재된 것이 없다.
열 번째, 화물 종별 도착사항으로 대정 1년(1912년)부터 단기 4290년까지 화물 종별(예를 들면, 쌀, 과일, 야채, 돗자리, 비료, 과일, 목재, 쌀 등)에 따른 화물착발량을 기재했다. 다만, 1959~1980년 사이는 기재된 것이 없다.
열한 번째, 연도별 철도수입으로 대정 1년(1912년)부터 1986년까지 여객, 화물, 창고, 잡수입에 따른 수입액을 기재했다. 다만, 1959~1980년 사이는 기재된 것이 없다.
열두 번째, 연락명칭별 여객화물연락발 개시년원일이다. 여객 및 화물연락수송 개시일을 기재했다.
열세번 째, 연도 말 통신설비 변천사항이다. 명치 36년(1903년)에서 1986년까지 역의 통신장비 숫자를 기재했다. 다만, 1958~1980년 사이는 기재된 것이 없다.
열네번 째, 연도별 영업창고성적이다. 대정 7년(1918년) 12월 10일 영업개시때부터 대정 9년(1920년) 12월 10일 영업폐지때까지의 야적보관장의 규모를 기재했다.
열다섯 번째, 연도별경비 및 수입이다. 대정 11년(1922년)에서 단기 4282년(1949년)까지 역의 경비(여비, 물품비 등) 및 취급수입 등을 기재했다.
열여섯 번째, 역세권내 주민 호구 및 직업조사 사항이다. 대정 10년(1921년)에서 단기 4290년(1953년)까지 역세권내 인구(일제시대에는 내지인(일본인), 조선인(한국인), 기타인으로 해방 후에는 아국인(한국인), 중국인으로 구분) 및 직업(농업, 광업, 상업, 기타)을 기재했다.
열일곱 번째, 타관사무소의 신설 및 역 관련 사항이다. 소화 12년~18년(1937년~1943년) 사이 설치된 순천철도사무소, 안동철도사무소의 신설사실을 기록했다.
열여덟 번째, 운전주요사고 개요다. 구포역에서 발생한 사고의 개요를 기록했다. 소화 10년(1935년)에서 단기 4290년(1957년)까지는 년별로 사고 수를 기록했다.
열아홉 번째, 구내발생 사고 건수 및 중대한 사고의 개황이다. 대정 7년(1918년)에서 소화 7년(1932년)까지 여객, 화물과 관련해 발생한 건수 및 중요한 사고의 경우 그 개황을 별도로 기술했다.
스무 번째, 순직자다. 역무활동 중 순직한 사람의 날짜, 연령, 본적, 개황, 순직이후 원호조치, 기타 사항을 기재했다.
스물한 번째, 표창사항이다. 소화 10년(1935년)에서 1974년까지 표창을 받은 사람의 성명, 직급, 표창일, 표창내용, 비고 등을 기재하고 있다.
스물두 번째, 역원교육방법이다. 소화 10년(1935년)에서 1947년까지 역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에 관해서 서술했다.
스물세 번째, 최고최저온도일수표다. 소화 10년(1935년)에서 단기 4290년(1957년)까지 영상 30도 이상의 날짜와 영하 0~10, 10~20도까지의 날짜를 기재했다.
스물네 번째, 기온의 고저다. 대정 11년(1922년)에서 단기 4290년(1957년)까지 연간 최고온도와 해당날짜, 최저온도와 해당날짜, 첫서리, 첫얼음, 첫눈이 내린 날짜를 기재했다.
스물다섯 번째, 역 부근의 전적지 및 명소개요다. 역 인근의 관광지 및 전적지를 기재했고 의성산과 김해가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사항이다. “단기 4284년 1월 8일 역광장에 폭탄폭발사고 발생하였음”이라 기재되어 있다.


생산자 : 구포역


발행처/출판사 : PNU SSK


날짜 : 2011-01-13


관련 자원 : ABBBF00001
ABBBF00002
ABBBF00003
ABBBF00004
ABBBF00005
ABBBF00006
ABBBF00007
ABBBF00008
ABBBF00009
ABBBF00010
ABBBF00011
ABBBF00012
ABBBF00013
ABBBF00014
ABBBF00015
ABBBF00016
ABBBF00017
ABBBF00018
ABBBF00019
ABBBF00020
ABBBF00021
ABBBF00022
ABBBF00023
ABBBF00024
ABBBF00025
ABBBF00026
ABBBF00027
ABBBF00028
ABBBF00029
ABBBF00030
ABBBF00031
ABBBF00032
ABBBF00033
ABBBF00034
ABBBF00035
ABBBF00036
ABBBF00037
ABBBF00038
ABBBF00039
ABBBF00040
ABBBF00041
ABBBF00042
ABBBF00043
ABBBF00044
ABBBF00045
ABBBF00046
ABBBF00047
ABBBF00048
ABBBF00049
ABBBF00050
ABBBF00051
ABBBF00052
ABBBF00053
ABBBF00054
ABBBF00055
ABBBF00056
ABBBF00057
ABBBF00058
ABBBF00059
ABBBF00060
ABBBF00061
ABBBF00062
ABBBF00063
ABBBF00064
ABBBF00065
ABBBF00066
ABBBF00067
ABBBF00068
ABBBF00069
ABBBF00070
ABBBF00071
ABBBF00072
ABBBF00073
ABBBF00074
ABBBF00075
ABBBF00076
ABBBF00077


기록물유형 : 문서


식별번호 : ABBBF00022


내용범위 : 부산광역시-북구-구포동


컬렉션 : 구포역


파일 : ABBBF00022.jpg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