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2482건

× 기록 페이지에는 PNU로컬리티아카이브가 그동안 수집하고 기증받은 다양한 기록 중 공개 가능한 기록 전수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기록은 해당 기록 생산자의 동의를 얻어서 외부 공개를 허용한 경우에만 본 사이트에서 이용자들을 위해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께서 기증하신 기록이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록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언제든 아카이브 담당자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AABAI00054.JPG

1970년대 대티 터널의 전경이다.



AABAH00024.JPG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며 건설된 대티 터널 전경이다.



AABAT00167.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는 대티 터널의 전경이다. 편도 2차선의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H00023.JPG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며 건설된 대티 터널 전경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T00679.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1490년 건립된 다대포성 터이다. 조선 전기 경상 좌도의 수군 진성 터로, 다대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 성벽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으며, 대부분 주택의 축대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AABAT00471.jpg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8회 부산 바다 축제 행사 중 7080 가족사랑 콘서트의 모습이다. 인디밴드가 공연을 하고 있다.



AABAT00470.jpg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8회 부산 바다 축제 행사 중 7080 가족사랑 콘서트의 전경이다.



AABAY00004.JPG

1904년 4월 30일 다대포초등학교에서 다대포 객사를 촬영한 모습이다. 다대포 객사 복원 전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35.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다대첨절제사영 소속 객사 다대포 객사 전경이다. 몰운대 내 위치한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JPG

조선 후기 다대 첨절제사영 소속 객사인 다대포 객사의 전경이다. 몰운대 내에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151.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 주변에 조성된 해변 공원의 전경이다.



AAMAS00098.PNG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부산의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물놀이 공간으로 1970년대 개장하였다. 백사장의 면적은 5만 3000㎡로, 길이 900m, 폭 100m에 이른다. 연안에서 300m 거리의 바다까지도 수심이 1.5m 정도로 얕고, 평균 수온이 21℃이다.



AABAT00150.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진입 광장, 방사림, 산책로, 생태 탐방로, 해수천 등 생태 친화적 해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AABAT00149.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다.



AABAT00148.PNG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부산의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물놀이 공간으로 1970년대 개장하였다. 백사장의 면적은 5만 3000㎡로, 길이 900m, 폭 100m에 이른다. 연안에서 300m 거리의 바다까지도 수심이 1.5m 정도로 얕고, 평균 수온이 21℃이다.



AABAT00147.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진입 광장, 방사림, 산책로, 생태 탐방로, 해수천 등 생태 친화적 해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AABAT00146.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다.



AAMAV00001.JPG

부산녹색연합에서 촬영한 다대포 전경이다. 부산녹색연합은 정기적으로 다대포를 방문하여 주변을 확인하고 전경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긴다.



AABAT00038.JPG

사하구 다대동에 위치한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3호 다대포객사 전경 모습이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에 팔작지붕이다. 안두리기둥 위에 절단된 큰 들보를 놓은 5량 집이며, 벽이 없다.



AAMAS00008.JPG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부산의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물놀이 공간으로 1970년대 개장하였다. 백사장의 면적은 5만 3000㎡로, 길이 900m, 폭 100m에 이른다. 연안에서 300m 거리의 바다까지도 수심이 1.5m 정도로 얕고, 평균 수온이 21℃이다.



AAEZZ00261.jpg

다대포해수욕장은 낙동강하구 동쪽에 있는 몰운대에 이르는 약 0.4km로 해안 백사장의 면적은 53,000㎡이다. 사장의 모래는 낙동강 상류에서 실려온 양질의 모래가 옛날에는 섬이었던 몰운대를 육지로 이어지게 하여쏘, 또한 천연의 사장을 이룬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사장은 전국적으로 이름난 해수욕장으로 1970년대에 이르러 정식으로 개장을 보았다. 지금은 1987년 11월 준공을 본 낙동강하구둑이 강물의 자연스런 흐름을 막아 해수욕장의 기능이 이전만큼은 못하여도 부산의 6대 해수욕장 중 하나로 그 명승은 변하지 않고 있다. 다대포 해수욕장 주위에는 국방유적인 문화재로 다대포 객사, 윤공단, 정운공순의비 등이 있다.



AAEZZ00188.jpg

부산항은 그 당시 국토교통부의 동남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개발의 목적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 물류·비즈니스 중심항만 구축,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를 들고 있다. 사진출처 :월간 해양한국 1989년 12월호.
기술출처 :국토교통부 MOF보도자료 (http://www.molit.go.kr/USR/mof_policyData/m_35302/dtl?id=463)



AAEZZ00183.jpg

부산항 서쪽에 위치한 다대포항은 부산항광역개발기본계획에 따라 목재 전용항으로 개발될 계획이다. 도심외곽에 위치한 입지적 조건을 활용함으로써 도심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부산항의 증가하는 원목화물을 처리한다.



AAEZZ00182.jpg

부산항 서쪽에 위치한 다대포항은 부산항광역개발기본계획에 따라 목재 전용항으로 개발될 계획이다. 도심외곽에 위치한 입지적 조건을 활용함으로써 도심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부산항의 증가하는 원목화물을 처리한다.



AABAH000158.JPG

1964년 건립된 감천화력발전소 전경이다.



AAMAS00067.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감천항의 모습이다. 감천항은 북항, 남항, 다대항, 부산 신항과 함께 부산항을 구성한다. 감천항은 현재 부산 신항 건립 이후 급속한 물동량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 처리량이 급감하고 있다.



AAMAS00066.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감천항의 모습이다. 감천항은 북항, 남항, 다대항, 부산 신항과 함께 부산항을 구성한다. 감천항은 현재 부산 신항 건립 이후 급속한 물동량 감소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 처리량이 급감하고 있다.



AABAI00040.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항구 감천항의 개발 전 전경이다.



AAMAU00009.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승학산에서 바라본 감천항의 전경이다.



AAMAU00008.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승학산에서 바라본 감천항의 전경이다.



AABAT00001.jpg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서구의 경계에 위치한 감천만의 전경이다. 항만 시설로 현재 무연탄과 원목의 입하항으로 이용되고 있다.



AAEZZ00283.jpg

감천항의 모습과 동일조선공업㈜의 조선소 모습



AAEZZ00187.jpg

부산항은 그 당시 국토교통부의 동남권 항만별 현황 및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어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개발의 목적은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 물류·비즈니스 중심항만 구축,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를 들고 있다. 사진출처 :월간 해양한국 1989년 12월호.
기술출처 :국토교통부 MOF보도자료 (http://www.molit.go.kr/USR/mof_policyData/m_35302/dtl?id=463)



AAMBH00004.PNG

옛 감천 문화 마을에서 집을 짓는 현장 모습이다.



AAMBH00003.PNG

옛 감천 문화 마을의 집 모습이다.



AAMBH00002.PNG

옛 감천 문화 마을 주민들의 생활 모습이다.



AAMBH00001.PNG

옛 감천 문화 마을의 모습이다.



AABAT00717.PNG

감천 문화 마을에 있는 벽화그림이다.



AABAT00716.JPG

감천 문화 마을의 모습이다.



AABAT00715.PNG

감천 문화 마을의 모습이다.



AABAT00025.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문화 마을의 벽화 전경이다.



AABAT00024.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문화 마을의 벽화 전경이다.



AABAT00023.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문화 마을의 벽화 전경이다.



AABAT00022.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문화 마을의 벽화 전경이다.



AABAT00021.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문화 마을의 벽화 전경이다.



AABAT00020.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자연 마을인 감천 문화 마을의 전경이다. 산기슭을 따라 밀집한 슬라브의 작은 집과 좁은 골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019.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있는 자연마을인 감천 문화 마을의 전경이다. 북쪽으로 구덕산이 솟아 있으며, 산기슭을 따라 밀집한 슬라브의 작은 집과 좁은 골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AAMAR00004.JPG

사상 삼락 낙동강변이다. 낙동강은 부산광역시 서부를 흘러 대한해협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AABAT00257.JPG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1921년 건립한 경부선 철도의 역사인 사상역 철로이다.



AABAT00256.JPG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1921년 건립한 경부선 철도의 역사인 사상역 입구이다. 건물의 전체 모양은 ‘一’자 형태로 박공지붕 형식의 붉은 벽돌을 쌓아 만든 단층 건물이며, 중앙 현관을 중심으로 좌우익당을 둔 전형적인 일본식 역사 건물이다.



AABAW00001.JPG

1980년대 사상 공단의 전경이다.



AAMAS00047.JPG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강변에 조성된 공업단지인 괘법교 주변 모습이다.



AABAI00027.JPG

부산시 사상구 감전동 일원에 있는 사상공업단지의 2000년 모습이다.



AABAT00072.JPG

1975년 완공된 사상 공업 단지의 전경이다. 조립 금속 및 기계 장비 업체를 비롯하여 화학·석유·플라스틱 업체와 의복·신발 업체가 있다.



AABAT00071.JPG

1975년 완공된 사상 공업 단지의 전경이다. 조립 금속 및 기계 장비 업체를 비롯하여 화학·석유·플라스틱 업체와 의복·신발 업체가 있다.



AABAT00070.JPG

1975년 완공된 사상 공업 단지의 전경이다. 조립 금속 및 기계 장비 업체를 비롯하여 화학·석유·플라스틱 업체와 의복·신발 업체가 있다.



AABAS00011.JPG

사상공업단지의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MAS00111.JPG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에 있는 사상역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삼계역을 연결하는 부산 김해 경전철의 모습이다. 부산 김해 경전철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이르는 구간의 길이가 23.9㎞이고, 궤간 폭은 표준 궤로 1,435㎜이며, 선로수는 2개이다. 주요 시설로는 21개 역과 차량 기지 1개소를 가지고 있다.



AABAT00221.JPG

2011년 준공된 부산 김해 경전철의 역사 전경이다.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195.JPG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과 부산진구 당감동을 연결하는 백양터널의 전경이다. 편도 2차선의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H00021.JPG

서구 동대신동과 사상구 학장동을 연결하는 터널 구덕 터널 기공식 모습이다.



AABAH00020.JPG

서구 동대신동과 사상구 학장동을 연결하는 터널 구덕 터널 개통식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T00125.JPG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과 사상구 학장동을 연결하는 구덕 터널의 전경이다. 편도 2차선의 마제형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EZZ00417.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낙동민속보존회의 구포 대리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구포동 대리 마을에서 음력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 이전까지 마을 청장년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각 가정의 안녕과 평안을 축원하는 민속놀이이다.



AAEZZ00416.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낙동민속보존회의 구포 대리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구포동 대리 마을에서 음력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 이전까지 마을 청장년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각 가정의 안녕과 평안을 축원하는 민속놀이이다.



AAMAR00019.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대리 마을 지신밟기를 하는 옛 모습이다.



AABAT00321.PNG

2011년 개장한 화명 수목원의 전경이다. 금정산 자락에 있으며. 중앙 광장, 생태 연못, 대천교, 아치교, 진입로, 관리동, 온실, 미로원, 오작교, 숲속 동물 마을, 수서 생태 공원, 화목원, 숲속 도서관, 숲속 전망대, 활엽수원 등의 시설이 있다.



AABAT00320.PNG

2011년 개장한 화명 수목원의 전경이다. 금정산 자락에 있으며. 중앙 광장, 생태 연못, 대천교, 아치교, 진입로, 관리동, 온실, 미로원, 오작교, 숲속 동물 마을, 수서 생태 공원, 화목원, 숲속 도서관, 숲속 전망대, 활엽수원 등의 시설이 있다.



AABAT00319.PNG

2011년 개장한 화명 수목원의 전경이다. 금정산 자락에 있으며. 중앙 광장, 생태 연못, 대천교, 아치교, 진입로, 관리동, 온실, 미로원, 오작교, 숲속 동물 마을, 수서 생태 공원, 화목원, 숲속 도서관, 숲속 전망대, 활엽수원 등의 시설이 있다.



AABAT00318.PNG

2011년 개장한 화명 수목원의 전경이다. 금정산 자락에 있으며. 중앙 광장, 생태 연못, 대천교, 아치교, 진입로, 관리동, 온실, 미로원, 오작교, 숲속 동물 마을, 수서 생태 공원, 화목원, 숲속 도서관, 숲속 전망대, 활엽수원 등의 시설이 있다.



AABAT00317.PNG

2011년 개장한 화명 수목원의 전경이다. 금정산 자락에 있으며. 중앙 광장, 생태 연못, 대천교, 아치교, 진입로, 관리동, 온실, 미로원, 오작교, 숲속 동물 마을, 수서 생태 공원, 화목원, 숲속 도서관, 숲속 전망대, 활엽수원 등의 시설이 있다.



AAMAS00168.JPG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과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제2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4차선의 마제형의 쌍굴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T00305.JPG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제2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4차선의 마제형의 쌍굴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H00044.JPG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터널 제2 만덕 터널 관통식 모습이다.



AABAT0030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과 북구 만덕동을 연결하는 제2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4차선의 마제형 쌍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T00303.JPG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제2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4차선의 마제형의 쌍굴식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H00043.JPG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터널 제1 만덕 터널 공사 현장 모습이다.



AABAT00302.JPG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과 동래구 온천동을 연결하는 제1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2차선의 반형원의 외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T0030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과 북구 만덕동을 연결하는 제1 만덕 터널의 전경이다. 왕복 2차선의 외굴 형식으로 되어 있다.



AABAI00108.JPG

제1 만덕 터널 전경이다. 출처 : 『개항백년』, 부산광역시, 1976



AAEZZ00340.jpg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3호 만덕사지 전경(고려시대)
'박물관회 회지'에 실린 사진
부산박물관에서 금당지를 중심으로 3차(1990~2002)에 걸쳐 발굴조사한 결과 다량의 고려시대 막새, 평기와, 치미, 전, 자기류와 함께 다양한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



AAMAR000134.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고분군 발굴 현장의 전경이다.



AAMAR000133.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고분군 발굴 현장의 전경이다.



AAMAR000132.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서 발견된 고분군의 무덤 유적이다. 구조가 구덩식인데, 벽은 큼직한 깬 돌을 세우거나 눕혀 쌓았고, 그 위에 작은 깬 돌을 눕혀 쌓았다



AAMAR000131.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서 발견된 고분군의 무덤 유적이다. 구조가 구덩식인데, 벽은 큼직한 깬 돌을 세우거나 눕혀 쌓았고, 그 위에 작은 깬 돌을 눕혀 쌓았다.



AABAT00162.JPG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과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를 잇는 대동 화명 대교의 전경이다. 주탑 2개가 지탱하는 사장교이며, 자전거나 도보로 낙동강을 가로질러 화명 생태 공원과 대저 생태 공원을 오갈 수 있도록 보행로 겸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있다.



AABAT00161.JPG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과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를 잇는 대동 화명 대교의 전경이다. 주탑 2개가 지탱하는 사장교이며, 왕복 4차선이다.



AAMAR00002.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인근 낙동강변의 1970년대 초 모습이다.



AABAT00335.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한 구포 왜성의 전경이다. 낙동강 서쪽으로 뻗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6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34.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건립한 구포왜성이다. 산의 정상부에는 주곽을 중심으로 남동쪽과 서북쪽, 북쪽에 5개의 곡륜을, 주곽부와 정상 아래의 4개의 곡륜을 배치하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6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33.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건립한 구포왜성이다. 구포왜성의 중심부를 여러 곽이 에워싸고 있는 윤곽식이다. 성벽은 자연 할석을 이용, 잔돌을 끼워 난적쌓기를 하였고, 성벽 모퉁이는 산목적을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6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32.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건립한 구포왜성이다. 구포왜성의 중심부를 여러 곽이 에워싸고 있는 윤곽식이고, 성벽은 자연 할석을 이용, 잔돌을 끼워 난적쌓기를 하였으며, 성벽 모퉁이는 산목적을 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6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33.JPG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건립한 왜성 구포왜성 발굴전 전경이다. 구포 쪽과 낙동강으로 연한 금정산의 서쪽으로 뻗은 해발 75.7m의 능선에 위치한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6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128.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는 경부선의 기차역인 구포역의 전경이다. 승강장은 2면 4선으로 상행선, 하행선 철로로 구성되어 있다.



AAMAR00014.JPG

1943년 구포역 앞 모습이다. 구포역은 경부선의 정차역이다.



AABAT00127.JPG

2005년 개통한 도시 철도 3호선의 구포역 전경이다. 총 2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는 지상에 모두 2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상 1층은 승강장이고, 지상 2층은 대합실이다.



AAMAR00013.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90년대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MAR00012.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80년대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MAR00011.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70년대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MAR00010.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50년대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MAR00009.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35년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BAI00051.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35년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BAT00126.JPG

부산광역시 강서구와 북구 구포동을 연결하는 구포 철교의 전경이다. 도시철도 3호선의 강서구청역과 구포역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행선과 하행선의 2개 선로가 있다.



AAMAR00008.JPG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서 북구 구포동을 연결하는 구포 대교와 구포교의 전경이다. 구포 대교는 왕복 6차선 교량으로 1993년 개통되었고, 구포교는 2008년 철거되었다.



AAMAS00096.JPG

부산광역시 서구 대저동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을 연결하는 구포 대교의 전경이다. 길이 950m에 왕복 6차선 교량으로 1993년에 개통하였다.



AAMAR00003.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과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던 구포교의 1980년대 전경이다. 왕복 2차선로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AAMAR00007.JPG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에 있었던 구포 나루터의 모습이다.



AABAT00719.PNG

구포 시장 구포 국수 가게[이원화 구포국시]





AABAA00130.PNG

1950년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구포 시장에서 구포 국수를 먹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다.



AABAA00129.PNG

1950년대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구포 시장에서 구포 국수를 먹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다



AAMAR00006.JPG

일제 강점기시대 구포시장 입구 중앙통의 모습이다. 구포장은 조선시대 감동진 나루터와 조창인 감동창이 있는 강변에서 장이 섰기 대문에 장터의 지명도 감동장이 되었고, 1933년 낙동강 제방 축조시 현재의 새시장으로 옮겼다.



AAMAR00005.JPG

1970년대 구포 구장터의 모습이다. 구포장은 조선시대 감동진 나루터와 조창인 감동창이 있는 강변에서 장이 섰기 대문에 장터의 지명도 감동장이 되었고, 1933년 낙동강 제방 축조시 현재의 새시장으로 옮겼다.



AABAI00098.PNG

1971년 개장한 부산의 대표 공원 어린이 대공원의 내부이다.



AABAI00097.PNG

1971년 개장한 부산의 대표 공원 어린이 대공원의 입구 전경이다.



AABAI00096.PNG

수원지에서 바라 본 어린이 대공원 전경이다.



AAMAS00145.PN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어린이 대공원의 전경이다. 1971년 성지곡 유원지로 지정된 이후, 1978년에 개칭하였다. 총면적은 4.98㎢이며, 현재는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AABAI00095.PNG

1971년 개장한 부산의 대표 공원 어린이 대공원의 입구 전경이다.



AAMAS00062.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어린이 대공원 1983년의 모습이다. 어린이 대공원은 백양산과 금정산(金井山)의 산비탈에 걸쳐져 있는 구 성지곡 수원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북쪽으로 만덕 고개로 연결되어 금정산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백양산에, 동쪽으로는 금용산[쇠미산]에 이른다



AAMAS00061.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어린이 대공원 1983년의 모습이다. 어린이 대공원은 백양산과 금정산(金井山)의 산비탈에 걸쳐져 있는 구 성지곡 수원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북쪽으로 만덕 고개로 연결되어 금정산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백양산에, 동쪽으로는 금용산[쇠미산]에 이른다



AABAI00141.JPG

1909년 건립된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의 댐이다. 집수 수로를 통하여 저수지에 물을 모으고, 침전지에서 토사 등을 침전하여 얻은 맑은 물을 여과지로 운반하는 구조이다.



AAMAT00031.JPG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한국 최초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인 구 성지곡 수원지의 옛 모습이다. 부산 시내의 주로 일본인 거류지에 대한 수돗물 급수를 담당하기 위해 1900년대 중반 건설을 시작하여 1909년 준공하였다.



AABAT00376.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1909년 조성된 부산 구 성지곡 수원지이다. 한국 최초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이며, 집수와 저수, 침전, 여과지로 향하는 도수로 등 상수도 확보를 위한 유기적인 시스템이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AABAT00375.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에 1909년 조성된 부산 구 성지곡 수원지이다. 수원지 일대는 삼나무, 편백나무, 전나무 등의 수림이 울창하여 부산 시민들의 훌륭한 휴식처가 되고 있다.



AABAI00117.JPG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로터리 부산탑의 모습이다. 탑의 조형은 ‘부산’의 ‘부’자를 딴 형상이며, 탑 상부에는 오륙도가 조상되어 부산을 상징하였고, 탑 중앙에는 자유의 횃불을 든 남녀 동상을 세웠다.



AAMAP00005.JPG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로터리 부산탑의 1963년 모습이다. 탑의 조형은 ‘부산’의 ‘부’자를 딴 형상이며, 탑 상부에는 오륙도가 조상되어 부산을 상징하였고, 탑 중앙에는 자유의 횃불을 든 남녀 동상을 세웠다.



AAMAU00027.JPG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있는 1963년 12월 14일 건립된 서면 로터리 부산탑의 모습이다. 탑의 조형은‘부산’의 ‘부’자를 딴 형상이며, 탑 상부에는 오륙도가 조상되어 부산을 상징하였고, 탑 중앙에는 자유의 횃불을 든 남녀 동상을 세웠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EZZ00367.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있는 서면 교차로의 모습이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MAS00032.JPG

옛 행정 구역인 동래의 한 면이었던 서면에서 범냇골 방향의 1970년대 모습이다.



AABAS00001.jpg

서면중심가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T00056.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일대 서면의 전경이다. 중구와 더불어 두 번째로 발달한 부도심지로 부산의 가장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AABAT00255.JPG

1932년 개소한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인 부전역의 입구이다. 상행용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AABAT00254.JPG

1932년 개소한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인 부전역의 입구이다. 상행용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AAMAS00135.JPG

1970년대 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에 있는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부천역 앞 모습이다.



AABAI00166.JPG

부산 시민 공원 모습이다. 출처 : http://photo.busan.go.kr



AABAI00165.PNG

부산 시민 공원 모습이다. 출처 : http://photo.busan.go.kr



AABAI00164.JPG

부산 시민 공원 모습이다. 출처 : http://photo.busan.go.kr



AAMAY00001.JPG

1948년 하야리아 부대의 전경이다. 2014년 현재 부산 시민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AABAT00228.PN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과 연지동 일대에 조성 중인 부산 시민공원의 전경이다. 숲길, 부전천 수변 산책로, 전포천 친수 공간, 랜드 마크 폭포, 잔디 광장, 역사 문화관, 놀이 공간, 생태 통로 등 각 테마에 맞는 공간들로 구성되고 있다.



AABAT00227.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과 연지동 일대에 조성 중인 부산 시민공원의 전경이다. 2015년 개장 예정이며, 숲길, 부전천 수변 산책로, 전포천 친수 공간, 랜드 마크 폭포, 잔디 광장, 역사 문화관, 놀이 공간, 생태 통로 등 각 테마에 맞는 공간들로 구성되고 있다.



AABAI00067.PNG

부산 시민 공원 전경이다.



AABAT00226.PN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과 연지동 일대에 조성 중인 부산 시민공원의 전경이다. 숲길, 부전천 수변 산책로, 전포천 친수 공간, 랜드 마크 폭포, 잔디 광장, 역사 문화관, 놀이 공간, 생태 통로 등 각 테마에 맞는 공간들로 구성되고 있다.



AAMAS00043.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 일대의 구 하야리아 부대 부지의 전경이다. 한·미간 관련 협정을 상호 타결하여 2006년 부지를 폐쇄하고 이후 환경조사와 공원설계를 마무리하여 현재는 부산시민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AAMAS00042.JP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전동, 연지동 일대의 하야리아 부대 주변 재개발지의 전경이다.



AABAP00031.jpg

중앙 지역이 퀀셋막사이고, 오른쪽은 6사단 본부와 전투지휘소이다.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BAT00130.JPG

2008년 개관한 국립 부산 국악원의 전경이다. 두 개의 실내 공연장과 야외 마당, 교육 연습 시설, 사무 관리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AABAT00129.JPG

2008년 개관한 국립 부산 국악원의 전경이다. 두 개의 실내 공연장과 야외 마당, 교육 연습 시설, 사무 관리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AABAT00106.JPG

1984년 개장한 가야 유원지의 전경이다. 산책로, 체력 단련 시설, 벤치 등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고, 약수터, 골프 연습장 등이 있다.



AABAT00091.JPG

1984년 개장한 가야 유원지 내에 있는 「가야공원기」이다.



AABAS00025.JPG

1969년 개최된 충렬제 개최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I00190.JPG

임진왜란(1592년) 발발 421주년을 맞아 순국선열에 대한 제향을 위하여 개최된 충렬사 제향 봉행 행사에 참여한 제관의 모습이다.



AABAI00189.JPG

임진왜란(1592년) 발발 421주년을 맞아 순국선열에 대한 제향을 위하여 개최된 충렬사 제향 봉행 행사에 참여한 제관의 모습이다.



AABAI00188.JPG

임진왜란(1592년) 발발 421주년을 맞아 순국선열에 대한 제향을 위하여 개최된 충렬사 제향 봉행 행사에 참여한 제관의 모습이다.



AABAT0040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충렬사 충렬문이다. 충렬사의 본전으로 가는 문이기도 하다.



AABAT0040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충렬사 의열각이다. 사당으로 쓰이는 의열각은 이익공이며, 맞배지붕으로 한식 기와이다.



AABAT00402.JPG

임진왜란 공신 송상현 등 92명의 사당인 충렬사에 있는 소줄당이다. 정면 5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AABAI00153.JPG

조선 후기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임진왜란 공신 송상현(宋象賢) 등 92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 충렬사 전경이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정화 공사를 실시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92위의 신위를 봉안하고 있다.



AABAT0040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충렬사이다. 충렬사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식이며, 팔작지붕으로 한식 기와이다.



AAMAS0017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충렬사의 모습이다. 임진왜란 공신 송상현 등 92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으로, 본당과 의열각, 소줄당, 기념관과 내삼문, 외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2년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AABAI00152.JPG

조선 후기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임진왜란 공신 송상현(宋象賢) 등 92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 충렬사 전경이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정화 공사를 실시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92위의 신위를 봉안하고 있다.



AAEZZ00319.jpg

충렬사는 임진왜란 때 왜적과 싸우다 장렬히 순절하신 부산지방 순국선열의 영령을 모신 곳이다. 현재의 충렬사는 1605년(선조 38년)에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동래읍성 남문 안에 충렬공(忠烈公) 송상현(宋象賢)을 모신 송공사(宋公祠)를 세우고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1624년(인조 2년)에 선위사 이민구(李敏求)의 건의로 『忠烈祠』라는 사액을 받고 부산진성에서 순절한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을 모시게 되었다. 충렬사는 그 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와 보수를 하여 현재는 93,823㎡의 경역에 본전 외 15동의 건물이 있으며 부산지방에서 순절한 93위의 위패를 봉안하고 매년 5월 25일 부산 시민 모두의 정성을 모아 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AABAI00012.JPG

부산광역시 금정구·동래구·연제구를 흐르는 온천천의 동래 온천 부근의 전경이다.



AABAT0001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을 흐르는 온천천의 전경이다. 현재 자연 생태 하천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하천 양안에는 자전거길, 산책로, 운동기구 등을 설치해 놓았다.



AAMAS00019.JPG

부산광역시 금정구·부산광역시 동래구·부산광역시 연제구를 흐르는 도심 하천인 온천천의 모습이다. 금정산의 고단봉과 계명봉 사이 골짜기에서 발원해 수영강의 제1 지류로 수영강 하구로부터 약 3.1㎞ 상류 지점에서 수영강의 우안 측으로 유입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AAMAS00018.JPG

부산광역시 금정구·부산광역시 동래구·부산광역시 연제구를 흐르는 도심 하천인 온천천의 모습이다. 금정산의 고단봉과 계명봉 사이 골짜기에서 발원해 수영강의 제1 지류로 수영강 하구로부터 약 3.1㎞ 상류 지점에서 수영강의 우안 측으로 유입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AABAA00006.JPG

부산광역시 금정구·동래구·연제구를 흐르는 온천천의 동래 온천 부근의 전경이다. 출처 :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AAEZZ00393.PNG

사진의 왼쪽 아래는 금강원에서 동래온천을 바라 본 전경이며, 오른쪽 위는 해운대 골프장의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옛모습』, 현대백화점, 1995



AABAI00056.PN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동래 온천 주변의 1910년 전경이다.



AABAI00055.PN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동래 온천 주변의 1910년 모습이다.



AAEZZ00392.PNG

동래 온천의 물을 끌어 들여 만든 인공호수 유원지 봉래관의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옛모습』, 현대백화점, 1995



AAEZZ00391.PN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서 바라본 동래 온천의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옛모습』, 현대백화점, 1995



AABAT0005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자연 마을인 온천 마을의 전경이다. 지금의 호텔 농심과 녹천 온천 호텔이 있던 곳에 있는 마을이다.



AABAT0005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동래 온천의 전경이다. 동래 스파토피아, 스파 백학 가든, 동래 온천 노천 족탕을 포함한 기존의 온천 업소 밀집 지역과 호텔 농심, 허심청 일대의 구역을 묶어 온천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AAMAS0002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동래 온천의 모습이다. 기존의 온천 업소 밀집 지역과 온천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은 탕원 개발의 억제 및 온천 자원의 영구적 활용을 위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다.



AAEZZ003589.PNG

1910년대 동래 온천장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EZZ00225.jpg

동래온천(東萊溫泉)은 부산에서 동북 13 km 지점, 태백산맥 중의 금정산맥(金井山脈) 동쪽의 급사면과 그 동쪽 평야와의 회합점에 위치하는 전국 유수의 온천이다. 천온 55 의 알칼리성 식염천이다.

이미 신라 때부터 알려졌으나 1883년 개항 당시부터 일본인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전차·버스가 운행됨에 따라 많은 관광휴양객이 모여들어 드디어 온천도시로 발전되었다가 8·15 광복 후 부산지역에 편입되고 지금은 연속된 시가지가 되어 관광객이 연중 끊임 없다.



AABAI00149.JPG

조선후기의 서원 안락서원 이전 전 전경이다. 1977년 현재 충렬사 내로 이전 복원되었다. 강당과 동재, 서재가 위치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48.JPG

조선후기의 서원 안락서원 이전 전 전경이다. 1977년 현재 충렬사 내로 이전 복원되었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BC00002.JPG

송공단에 봉행된 송상현 동래부사 단제사 봉행식 행사 모습이다. 출처 : http://www.dongnae.go.kr



AABBC00001.JPG

송공단에 봉행된 송상현 동래부사 단제사 봉행식 행사 모습이다. 출처 : http://www.dongnae.go.kr



AABAT0038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1742년 건립된 송공단 축단 앞면이다. 대문 북쪽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정단을 중심으로 동쪽에 있는 1개의 단과 서쪽에 있는 3개의 단이 각각 직육면체 모양이지만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정단에서 멀어질수록 각 단의 높이를 낮게 만들었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8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1742년 건립된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송공단 입구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87.JPG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제단인 송공단의 전경이다. 동래 시장 상가 건물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86.JPG

임진왜란 때 순절한 선열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송공단의 전경이다. 7개의 단에 화강석으로 만든 15기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8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부산의 대표적인 삼국 시대의 복천동 고분군이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은 유구가 구릉의 정상부에서 사면에 걸쳐 비교적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는 전형적인 분묘 유적이다. 현재 사적 제 27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8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부산 복천동 고분군이다. 직사각형 형태로 나무가 심어져 있는 부분이 무덤이고, 구릉 능선을 따라 부곽을 가진 대형 무덤과 구릉의 주변 지역과 경사면에 있는 중·소형 무덤으로 분포된다. 현재 사적 제 27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BA0000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복천동 고분군의 전경이다. 부산의 대표적인 삼국 시대의 고분군이다.



AABAT0021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1996년 준공된 복천박물관이다. 복천박물관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 박물관으로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217.JPG

1992년에 개관한 복천박물관이다.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고학 강좌를 어린이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AAEZZ00324.jpg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은 복천동고분군의 무덤과 여기서 나온 유물을 중심으로 당시의 인접지역인 가야권과 일본의 유물들을 비교, 연구, 전시하여 우리지방의 뿌리와 문화적 성격을 시민에게 올바르게 전달하는 역사교육을 위한 전시실이다.

아울러 땅 속에 묻혀있는 문화재의 조사를 통해 문헌기록이 부족한 우리 나라 고대사를 연구하는 연구소의 기능을 가진 특수박물관이다.



AABAI00197.JPG

1910년 전후 동래향교 전경이다.



AABAT0069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명륜당의 앞면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정면 1칸, 측면 2칸 크기의 온돌방을 둔 형태이다



AABAT0069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대성전을 오른편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식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AABAT0068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명륜당의 앞면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그 앞 부속건물인 동재와 서재는 정면 3칸과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양식으로 지어졌다.



AABAT0068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명륜당의 측면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정면 1칸, 측면 2칸 크기의 온돌방을 둔 형태이다



AABAT0068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대성전을 왼편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식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좌우로 동재와 서재가 위치해 있다.



AABAT0068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 향교 대성전의 앞면 모습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식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AABAT0068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대성전을 대각선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대성전은 정면 5칸이고 측면이 2칸인 겹치마 맞배지붕이며, 그 앞 부속건물인 동재와 서재는 정면3칸과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양식으로 지어졌다.



AABAT0037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서재이다. 서재는 생도들이 거처하던 곳으로 앞면 3칸, 측면 1칸의 초익공 3량 맞배지붕이며 앞에는 쪽마루가 길게 붙어있다.



AABAT0037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서무이다. 제사 공간인 서무는 앞면 3칸, 측면 1칸으로 제사상의 모습과 제례에 관련된 설명을 볼 수 있다.



AABAT0036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동래향교의 반화루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 건물이다.



AABAT0036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명륜당이다. 강학 공간인 명륜당은 앞면 5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가운데 넓은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앞면 1칸, 측면 2칸 크기의 온돌방을 둔 형태이다.



AABAT0036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동재이다. 동재는 생도들이 거처하던 곳으로, 앞면 3칸, 측면 1칸의 초익공 3량 맞배지붕이며, 앞에는 쪽마루가 길게 붙어 있다.



AABAT0036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동무이다. 제사 공간인 동무는 앞면 3칸, 측면 1칸으로 내부에는 동래향교와 관련된 유학자들의 설명을 전시하고 있다.



AABAT0036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대성전이다. 대성전은 앞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익공식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이고, 내부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의 위패를 모셔 놓았다.



AABAT0036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동래향교 내삼문이다.



AABAT0037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동에 있는 삼한 시대의 부산 동래 패총 입구이다. 낮은 구릉 지대의 서남쪽 경사면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던 대규모의 유적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파괴되거나 소멸되었다. 현재 사적 제 192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37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삼한 시대의 패총 유적의 전경이다. 동해 남부선 동래역 철길 인근 주택가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 파괴되거나 소멸되었다. 현재 사적 제 192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BJ00001.JPG

동래읍성해자 부분 발굴 전 전경 모습이다. 굵은 선은 발굴 해당 부분이다.



AABAT0069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북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의 북문 성벽 전경이다.



AABAT0068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북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의 북문 전경이다.



AAMAT00034.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 세병문의 1905년 모습이다.



AABAI0019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축조된 왜성 터 지성의 전경이다. 교회를 비롯한 주택들이 들어서면서 대부분 파괴되었다.



AABAI0019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칠산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축조된 왜성 터 본성의 전경이다. 동래읍성 동장대를 중심으로 동남쪽 능선이 이어지는 충렬사 정문까지 해당된다.



AABAT0050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병영 무기 체험 모습이다.



AABAT0049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성 전투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성 전투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부사 행차 재현 모습이다.



AABAT0049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길놀이 모습이다.



AABAT0049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일원에서 개최된 동래읍성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줄다리기 모습이다.



AABAT0048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동래 장터 행사장 입구이다.



AABAT0048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동래 장터 재현 행사장 전경이다.



AABAT0048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동래 장터 재현 모습이다.



AABAT0048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농촌 문화 체험 모습이다.



AABAT0048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 읍성 북문광장에서 개최된 제19회 동래 읍성 역사 축제의 행사 중 농촌 문화 체험 모습이다.



AABAT0036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지 동장대의 옆면이다. 동장대는 읍성을 따라 북문, 북장대를 거쳐 인생문 위를 지나 읍성 흔적을 따라 올라가면 만날 수 있고, 복원된 동장대는 망월산 정산에 위치한다.



AABAT0036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동래읍성지의 북장대 앞면이다. 장대는 성밖을 멀리 관측하는 전망대이자 군관이 군사를 지휘할 수 있도록 만든 건축물이다. 그 중 복원된 북장대는 마안산의 정상에 위치하며, 북문과 인생문 사이에 있다.



AABAT00361.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동래읍성지의 북문 앞면이다. 북문에는 성문의 보호를 위해 옹성을 부설하였다.



AABAT00360.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지 인생문이다. 인생문은 문루 1칸이고, 옹성 한 곳에 보루 1칸의 시설로 일제강점기에 없어진 것을 2005년 복원한 것이다.



AABAT00359.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지 서장대의 앞면이다. 동래읍성의 서쪽의 장대로 북장대, 동장대와 함께 동래읍성의 3대장대 중 하나이고, 세곡의 장대 중 2010년에 마지막으로 복원되었다.



AABAT00358.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읍성에 있는 북장대이다. 팔작지붕으로 된 누각이다.



AABAT00357.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동래읍성지의 북문이다. 북문지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서장대와 동쪽으로는 북장대, 인생문, 동장대에 이르는 성벽과 문루, 건물들이 복원되어 있다.



AABAT00356.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이다. 동래읍성의 인생문과 성곽이다.



AABAT0035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이다. 동래읍성의 인생문과 성곽이다.



AABAT0035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및 칠산동 일대에 복원되어 있는 동래 읍성의 전경이다. 북문지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서장대와 동쪽으로는 북장대, 인생문, 동장대에 이르는 성벽과 문루, 건물들이 복원되어 있다.



AABAT0035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동래읍성이다. 동래읍성은 동장대가 있는 동래고등학교 뒤쪽의 망월산정에서 서북쪽으로 마안산을 거쳐, 서장대가 있는 동래 향교 뒷산까지의 구릉지와 현재 동래 지역 시가지 중심의 평탄지를 일부 포함하는 평면 말각방형의 전형적인 평산성이다.



AABAT00352.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및 칠산동 일대에 복원되어 있는 동래 읍성의 전경이다. 북문지를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서장대와 동쪽으로는 북장대, 인생문, 동장대에 이르는 성벽과 문루, 건물들이 복원되어 있다.



AABAI00139.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의 옛 모습이다.



AABAI00138.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의 옛 모습이다.



AABAI00137.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의 옛 모습이다.



AABAI00136.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의 옛 모습이다.



AABAA00086.JPG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복천동, 칠산동, 안락동, 명장동 일대에 축조된 동래읍성의 모습이다.



AABAT00051.JPG

동래향교 정문인 2층 문루 반화루의 모습이다. 반룡부봉, 즉 성인을 따라 덕을 이루고 임금을 받들어 공을 세우기를 원한다는 뜻에서 반화루가 되었다.



AABAT00050.JPG

부산 동래구 명륜동에 위치한 부산 유형무노하재 제6호 동래향교 내부 모습이다. 반화루를 지나 정면에 명륜당과 동,서재가 모여 배움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AABAT00049.JPG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6호 동래향교의 내부에 있는 대성전 사진이다. 대성전에서는 유교의 성현을 모신다.



AABAT00048.JPG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6호 동래향교 내부 내삼문의 모습이다. 내삼문 밖에는 명륜당, 서재, 동재 강학공간이고, 내삼문 내에는 대성전, 서무, 동무 배학공간이다.



AABAT00047.JPG

조선시대 동래에 축조된 중요 방어시설인 동래읍성의 장대 중 하나였던 북장대의 모습이다. 북장대는 동래읍성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망루이다.



AABAT00046.JPG

동래에 설치된 조선시대 동래읍성 북문 바깥쪽 성곽의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마안산을 중심으로 성곽의 모습만 겨우 남아 있다.



AABAT00045.JPG

조선시대 동래에 축조된 중요 방어시설인 동래읍성의 4대 성문 중 유일하게 남은 북문의 모습이다.



AABAT0017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인 동래역의 전경이다. 여객 승강장과 역사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17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동해 남부선의 기차역인 동래역의 전경이다. 여객승강장, 역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는 가파른 2개의 커다란 박공지붕으로 만들어져 있다.



AABAT0017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과 도시 철도 4호선의 환승역인 동래역의 전경이다.



AABAT00105.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시 철도 4호선 동래역의 내부이다. 지하 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 1층에서 지하 3층까지는 대합실이고 지하 4층은 승강장이다.



AABAT0010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시 철도 4호선 동래역의 8번 출구이다.



AABAT00094.JPG

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 동래역의 전경이다. 지상 2층 건물로 되어 있으며 역에는 환승주차장, 자전거보관소, 엘리베이터, 휠체어리프트, 등이 설치되어 있다.



AABAT0009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도시 철도 1호선 동래역의 내부이다. 지상 2층 건물로 되어 있으며 1층은 대합실이고 2층은 승강장이다.



AABAA00084.JPG

1910년대 후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동래 장터의 모습이다.



AAEZZ00373.JPG

1979년 동래 시장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I00023.JPG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전통 시장인 동래 시장 주변에 있던 약방이발소의 모습이다. 현 구청과 상업은행 사이 지역이다.



AAEZZ00372.JPG

동래 시장에 위치한 상가의 전경이다. 출처 : 『개항백년』, 부산광역시, 1976



AAEZZ00374.JPG

조선 후기 동래부의 관아 건물 동래부 동헌 전경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T00044.JPG

1636년 부사 정량필이 창건한 동래부 동헌 충신당의 전경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의 팔작지붕 겹처마 건물 건물이다.



AABAT00043.JPG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호 동래부동헌의 입구 모습이다. 동래부 동헌은 부산지방에 현존하는 조선시대 단일 건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유일하게 남아있는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관아건축 양식을 갖춘 유형문화재이다.



AABAT00042.JPG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1호 동래부동헌의 동익랑 모습이다. 충신당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동익랑은 동헌의 안살림을 맡아하는 다모방으로 사용되었다.



AABAT00521.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동래한량춤을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T00520.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동래학춤을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T00519.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동래지신밟기를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T00518.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동래고무를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EZZ00438.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동래한량춤」 공연 모습이다. 일정한 춤의 형식과 구성 방식이 없고, 한량들이 놀이판에서 흥이 고조되면 즉흥적으로 추는 춤이다. 모든 남성 춤의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2005년 무형 문화제 제14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37.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동래한량춤」 공연 모습이다. 일정한 춤의 형식과 구성 방식이 없고, 한량들이 놀이판에서 흥이 고조되면 즉흥적으로 추는 춤이다. 모든 남성 춤의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2005년 무형 문화제 제14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30.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부산농악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을 중심으로 행해졌던 풍물굿이다. 타 지역 농악에 비해 느린 4박자의 굿거리 장단이 주를 이루며, 각 마당마다 춤사위가 삽입된다는 특징이 있다.



AAEZZ00429.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부산농악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을 중심으로 행해졌던 풍물굿이다. 타 지역 농악에 비해 느린 4박자의 굿거리 장단이 주를 이루며, 각 마당마다 춤사위가 삽입된다는 특징이 있다.



AAEZZ00428.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동래학춤」 공연 모습이다. 조선 후기 부산 동래 지방에서 전해지는 덧배기 춤으로 학의 움직임이 가미되 예술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기본적 구성 형식에 즉흥성이 표현된다. 1972년 무형 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7.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동래학춤」 공연 모습이다. 조선 후기 부산 동래 지방에서 전해지는 덧배기 춤으로 학의 움직임이 가미되 예술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기본적 구성 형식에 즉흥성이 표현된다. 1972년 무형 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6.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던 세시 의식요인 「동래지신밟기」는 거의 온전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몇 안 되는 놀이의 사설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1977년 무형 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5.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던 세시 의식요인 「동래지신밟기」는 거의 온전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몇 안 되는 놀이의 사설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1977년 무형 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4.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던 세시 의식요인 「동래지신밟기」는 거의 온전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몇 안 되는 놀이의 사설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1977년 무형 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3.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북춤으로 「동래고무」는 고려 초기 궁중에서 기생들이 추었던 무고(舞鼓)[북춤]가 그 원류이다. 1933년 무형 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2.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북춤으로 「동래고무」는 고려 초기 궁중에서 기생들이 추었던 무고(舞鼓)[북춤]가 그 원류이다. 1933년 무형 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21.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의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북춤으로 「동래고무」는 고려 초기 궁중에서 기생들이 추었던 무고(舞鼓)[북춤]가 그 원류이다. 1933년 무형 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AABAI00132.JPG

조선 후기 부산 동래 지방에서 전해지는 춤 동래학춤 재현행사이다. 용두산공원에 마련된 토요일 상설 민속공연 행사 중 하나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31.JPG

조선 후기 부산 동래 지방에서 전해지는 춤 동래학춤 재현행사이다. 용두산공원에 마련된 토요일 상설 민속공연 행사 중 하나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30.JPG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던 의식요 동래지신밟기 행사 모습이다. 매년 정초부터 보름 사이에 동래지방에서 행해지던 지신밟기는 잡신을 눌러 일년 동안 마을과 가정의 무사태평 및 풍년과 재복을 기원하던 종교성을 띤 제의적 농악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4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29.JPG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부르던 의식요 동래지신밟기 행사 모습이다. 매년 정초부터 보름 사이에 동래지방에서 행해지던 지신밟기는 잡신을 눌러 일년 동안 마을과 가정의 무사태평 및 풍년과 재복을 기원하던 종교성을 띤 제의적 농악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4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28.JPG

부산광역시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전승되어 오는 탈춤인 「동래야류」의 1950년대 공연 모습이다.



AABAI00127.JPG

동래 온천동에서 행했던 민속 연희 동래야류를 재현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I00126.JPG

동래 온천동에서 행했던 민속 연희 동래야류를 재현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A00085.JPG

부산광역시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전승되어 오는 탈춤인 「동래야류」의 2006년 공연 모습이다.



AABAI00125.JPG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동래야류」 공연 모습이다.



AABAI00124.JPG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북춤 동래고무의 재현 행사 모습이다. 출처 :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