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2467건

× 기록 페이지에는 PNU로컬리티아카이브가 그동안 수집하고 기증받은 다양한 기록 중 공개 가능한 기록 전수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기록은 해당 기록 생산자의 동의를 얻어서 외부 공개를 허용한 경우에만 본 사이트에서 이용자들을 위해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께서 기증하신 기록이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록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엔 언제든 아카이브 담당자에게 문의 부탁드립니다.
AABAA00039.JPG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있는 영도 남항 방사제와 등대를 공사하는 모습이다. 출처 :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AABAI00018.JPG

1994년 9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도에서 본 부산시가지의 전경이다.



AABAI00017.JPG

부산광역시 영도군 영도에서 바라 본 부산시가지의 1950년 모습이다.



AABAA00015.JPG

1994년 9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도에서 본 부산시가지의 전경이다.



AAEZZ00355.jpg

부산대교(영도대교) 왼쪽에 '대교통서'라는 부분을 형광펜으로 표시해 놓았다.
준설 6,912평 이라는 메모가 있다.



AAEZZ00354.jpg

영도에 매립구역을 형광팬으로 표시해 놓은 것으로 보임. 영도대교도 보인다.



AAEZZ00353.jpg

지도에 '1917년 절영도 매축 계획 40,200평 매립' 이라고 적혀 있음



AAEZZ00259.jpg

부산지방에서 고구마 재배지로는 오랫동안 절영도와 다대포가 유명했다. 절영도에서 고구마를 처음 재배한 곳은 '조내기'라는 곳으로, 지금 영도구 동삼1동 삼거리 일대이다. 조내기라는 어원에는 '조엄이 가지고 온 고구마를 캐내는 곳'이라 하여 '조내기'라는 지명이 생겼다는 설과 절영도 멍더들 부근(지금 한국해양대학교 소재지 조도의 맞은 편 육지)에 어장이 있으나 조류가 빠지면 해저천탄으로 인하여 간조가 되는 관계로 조락(潮落)한 곳이라고 부르던 것이 변음되어 '조내기'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AAEZZ00252.jpg

현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구 왜관지의 변형된 모습이다.



AAEZZ00251.jpg

★표는 절영도 왜관지를 표시하며, 우측 해안선은 여전히 모래톱으로 남아있다.



AAMBI00001.jpg

★표는 절영도 왜관지를 표시함. 그 아래가 임란 당시 살마수군이 갯벌을 준설하여 군선의 정박지로 사용했던 해안이다. 절영도 왜관지 윗쪽은 초량왜관의 선착장



AAEZZ00202.jpg

나룻배로 다닐 떄의 모습. 김삼근, 부산출신독립투사집, 박재혁의사비건립동의회, 1992.







AABAP00041.jpg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BAP00040.jpg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BAP00037.jpg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BAP00028.jpg

우측 상단에 "RESTRICTED SECURITY INFORMATION"이라는 문구가 도장으로 찍어져 있음.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MAS00173.JP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에 있는 신석기 시대의 조개더미 유적인 부산 동삼동 패총의 모습이다. 2002년에 동삼동 패총 전시관을 열었다. 1979년 7월 26일 사적 제266호로 지정되었다.



AABAT00183.PN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패총전시관의 모습이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속된 전시관으로 부산 동삼동 패총[사적 제266호] 유적에 위치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1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19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AABAT00182.PN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2001년 준공된 동삼동 패총 전시관 입구이다. 지하 1층, 지상 1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고, 부산 동삼동 패총 유적에서 출토된 190여 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AABAI00058.PNG

동삼동패총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건립한 동삼동패총전시관의 전경이다.



AABAT00181.PN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2001년 준공된 동삼동 패총 전시관의 전경이다. 동삼동 패총 전시관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속된 전시관으로 부산 동삼동 패총 유적에 위치하고 있다.



AABAI00057.PNG

동삼동패총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건립한 동삼동패총전시관의 전경이다.



AAEZZ00371.JPG

대한조선공사 전경이다. 출처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EZZ00370.JPG

1950년 국영기업으로 설립된 대한조선공사의 전경이다. 출처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EZZ00357.jpg

대풍포 입구 오른쪽에 있는 대형 구조물이 석유저장소(현재 대교동 대동대교맨션 자리)



AABAJ00012.JPG

부산 영도 동삼동 국제 크루즈 터미널 개장식 모습이다.



AAEZZ00390.JP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해양박물관의 모습이다. 2012년에 개관된 세계최초 종합 해양 박물관이다.



AAEZZ00389.JPG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국립해양박물관의 모습이다. 2012년에 개관된 세계최초 종합 해양 박물관이다.



AABAP00010.jpg

부산광역시청, 『미국립문서관리청 소장 부산 사진자료집』, 2013



AABAT00271.PNG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을 흐르는 온천천 강변을 따라 조성되어 있는 시민 공원의 전경이다. 체육 시설, 노인 쉼터, 음악 분수, 자연 학습소 등이 있다.



AAMAS00152.PNG

부산광역시 동래구·부산광역시 금정구·부산광역시 연제구에 흐르는 온천천 강변을 따라 조성되어 있는 시민 공원이다. 온천천의 온천교에서 안락교 사이 5㎞의 하천 유역에 조성되었다. 8개소의 체육 시설, 관리 사무소, 노인 쉼터, 음악 분수, 음수대, 징검다리, 자연 학습소 등이 있다.



AABAI00150.JPG

동래구 연산동에 위치한 삼국 및 통일 신리 시대의 연산동 고분군 발굴 전 전경이다. 부산지역의 유일한 원형성토분군 유적으로 배산북쪽의 농선을 따라 10개의 고층고분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2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AU00023.JPG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있는 연산 교차로의 모습이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BAT000263.JPG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연산 교차로의 전경이다. 8차선의 중앙 대로와 6차선의 월드컵 대로가 교차하고, 4차선의 고분로와 반송로가 연결된 6지형의 교차로이다.



AAMAU00022.JPG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있는 연산 교차로의 1960년대 중반 도로 확장 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BAA00046.JPG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있는 부산광역시청의 2006년 모습이다.



AAMAS00058.JPG

부산광역시청은 광역 지방 자치 단체인 부산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으로, 부산광역시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한다. 1998년 1월 20일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AABAT00088.JPG

1998년 신축·이전한 부산광역시청의 전경이다.



AABAT00723.PNG

1985년 개장된 사직 야구장의 전경이다. 지상 5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연 잔디 야구장, 관람석 등을 갖추고 있다.



AABAH00061.JPG

사직 야구장에서 개최된 롯데자이언츠 경기 모습이다.



AABAI00162.JPG

2008년 9월 8년만에 가을 야구를 하게 된 롯데 자이언츠 경기를 보기 위해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의 모습이다.



AABAI00161.JPG

프로야구단 롯데자이언츠 2010년 시즌 개막식에 참여하여 경기를 앞두고 있는 모습이다.



AABAA00093.JPG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일간 개최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개막식이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AABAA00092.JPG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일간 개최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개막식이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AABAA00091.JPG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일간 개최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개막식이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AABAA00090.JPG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16일간 개최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개막식이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AAMAS00137.PNG

1985년 10월 개장한 사직야구장의 모습이다. 1986년 이래 부산을 연고로 하는 프로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상 4층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258.PNG

1985년 개장된 사직 야구장의 전경이다. 지상 5층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연 잔디 야구장, 관람석 등을 갖추고 있다.



AAMAS00136.PNG

위에서 내려다 본 사직 야구장 모습이다. 1985년 10월에 개장한 이후 우리나라 제2도시의 면모에 부합하는 국제 규격의 현대식 야구장을 건립하게 되었다.



AAMAS00118.JPG

2001년도 건립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주경기장이자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의 메인 스타디움의 모습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국제육상경기연맹 규정에 의하여 설계된 1종 공인 경기장으로, 시간당 10~15㎜의 비가 내리거나 폭우 시에도 12~24시간이 경과하면 경기가 가능하도록 건설되었다.



AAMAS00117.JPG

2001년도 건립된 2002년 아시안 게임의 주경기장이자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의 메인 스타디움의 모습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국제육상경기연맹 규정에 의하여 설계된 1종 공인 경기장으로, 시간당 10~15㎜의 비가 내리거나 폭우 시에도 12~24시간이 경과하면 경기가 가능하도록 건설되었다.



AABAT00225.PNG

2001년 개장된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에 있는 실내 체육관의 전경이다. 지상 4층 규모로 주경기장, 보조 경기장, 관람석, 체력 단련실 등을 갖추고 있다.



AABAT00224.JPG

2001년 개장된 부산 사직 종합 운동장에 있는 실내 수영장의 전경이다. 지상 3층 규모로 경영 풀, 연습 풀, 다이빙 풀로 이루어져 있다.



AABAI00066.JPG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종합 운동장 부산 사직 종합운동장 전경이다. 사직 종합 운동장은 부사 아시아드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실내 수영장, 사직 야구장, 실내 체육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AMAS00005.jpg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금련산의 모습이다. 산의 모양이 연꽃 형상을 닮아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금련산맥의 중심이 되는 산으로 노년 산지의 특징을 나타내며, 산정은 종순형이고 사면은 대체로 완만하다. 해발 415m의 금련산은 여러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AABAD00002.JPG

1984년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전문 기록물 보존 시설인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모습이다.국가기록원의 기록물 보존 시설은 대전 서고[대전], 나라 기록관[성남], 역사 기록관[부산]으로 세 군데가 있다.



AABAD00001.JPG

1984년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전문 기록물 보존 시설인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모습이다.국가기록원의 기록물 보존 시설은 대전 서고[대전], 나라 기록관[성남], 역사 기록관[부산]으로 세 군데가 있다.



AAMAR00017.JPG

1910년대 후반 동래 광제교의 모습이다. 광제교는 온천천을 가로 질러 거제1동과 수안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돌다리의 모습은 변했지만 지금도 남아 있으며, 광제교 위 철요에는 경편철도가 부설되어 온천장으로 가는 승객을 실어 나르고 있다.



AABAT00123.JPG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과 동래구 수안동을 잇는 광제교의 전경이다. 온천천을 건너기 위한 왕복 4차선 다리이다.



AABAA00050.JPG

1910년대 후반 동래 광제교의 모습이다. 광제는 온천천을 가로 질러 거제1동과 수안동을 연결하는 다리로, 돌다리의 모습은 변했지만 지금도 남아 있으며, 광제교 위 철요에는 경편철도가 부설되어 온천장으로 가는 승객을 실어 나르고 있다.



AABAT00524.JPG

2014년 6월 14일 수영 사적 공원 내의 수영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수영 전통 민속 예술 축제 중 수영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AABAT00523.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수영지신밟기를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EZZ00442.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AAEZZ00441.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AAEZZ00440.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AAEZZ00439.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 지신밟기 공연 모습이다.



AAEZZ00410.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9.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8.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7.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6.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5.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농청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연행되는 「수영 농청놀이」 과정에서 불리는 민요이다. 농사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부른 노동요로 주로 선후창 방식으로 불린 노래이다. 1972년 무형 문화제 제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4.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농청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연행되는 「수영 농청놀이」 과정에서 불리는 민요이다. 농사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부른 노동요로 주로 선후창 방식으로 불린 노래이다. 1972년 무형 문화제 제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03.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수영농청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연행되는 「수영 농청놀이」 과정에서 불리는 민요이다. 농사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부른 노동요로 주로 선후창 방식으로 불린 노래이다. 1972년 무형 문화제 제2호로 지정되었다.



AABAI00163.JPG

부산 민속 예술 축제에서 좌수영 어방놀이를 공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EZZ00399.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의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로, 수영의 어로 과정을 민속놀이로 연행하기 알맞게 구성되어 있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BAI00151.JPG

수영구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 좌수영어방놀이 공연 모습이다. 1978년 중요 무형 문화제 제62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328.jpg

중요무형문화재 제62호. 바닷가에서 어부들이 후릿그물로 고기를 잡으며 여러 가지 노래를 부르는 내용이 중요부분을 이룬다.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이 놀이는 1970년대 초에 재현되어 1978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기예능 보유자로 박등무(朴藤茂, 어로장)가 있다.



AAEZZ00326.jpg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동에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43호. 수영에서는 탈놀이를 ‘들놀음’·‘들놀이’라고 하여 한자로 ‘야류(野遊)’라 표기하며, ‘야루’라고 부르고 있다. 그 유래는 약 200년 전 좌수영수사(左水營水使)가 초계(草溪) 밤마리(지금의 합천군 덕곡면 율지리)의 대광대[竹廣大]패를 데려다가 연희(演戱)시킨 데서 비롯되었다고도 하며, 또는 수영사람이 큰 장터인 밤마리에 가서 보고온 뒤 시작되어 그 뒤 동래와 부산진에 전파되었다고도 한다. 이 놀이는 음력 정월대보름날 산신제(山神祭)와 함께 행해지는데, 수영고적민속보존회가 주관하고 있다.



AABAT00390.JPG

수영 사적 공원 내에 있는 아치형으로 쌓은 홍예문인 수영성 남문이다. 현재 앞뒤의 홍예와 홍예 기석, 그리고 홍예 기석과 같은 높이의 성벽이 좌우에 10m 정도 남아 있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47.JPG

조선시대 경상좌수사영정의 남문으로 아취형 석문 수영성 남문 복원 전 전경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1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AS00142.JPG

조선 시대 경상 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으로 현재는 성지 관련 유적만 남아 있다. 1968년 공원으로 지정되어 수영 공원으로 개장하였다. 면적은 2만 7128㎡이며, 도시화 과정에서 성은 허물어지고 성지 관련 유적만 일부 남아 있다. 남쪽 입구에는 수영성 남문이 있다. 남문에 들어서면 부산 좌수영성지 곰솔 및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가 있다. 북쪽으로는 숲이 조성되어 있다.



AABAI00187.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광안리 해수욕장,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제9회 부산 불꽃 축제 모습이다.



AABAI00186.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광안리 해수욕장,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제9회 부산 불꽃 축제 모습이다.



AABAI00185.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광안리 해수욕장,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제9회 부산 불꽃 축제 모습이다.



AABAT00528.JPG

2008년 10월 18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27.JPG

2008년 10월 18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26.JPG

2008년 10월 18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25.JPG

2008년 10월 18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4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15.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I00182.JPG

광안대로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 전경이다.



AABAT00514.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I00181.JPG

광안대로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 전경이다.



AABAI00180.JPG

광안대로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 전경이다.



AABAI00179.JPG

광안대로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 전경이다.



AABAT00513.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12.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I00178.JPG

광안대로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 전경이다.



AABAT00511.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10.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09.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508.JPG

2007년 10월 20일에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3회 부산 불꽃 축제의 불꽃 쇼 모습이다.



AABAT00463.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행사 중 어방민속마을 모습이다.



AABAT00462.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의 주제 프로그램인 경상좌수영 수문장 교대식 모습이다.



AABAT00461.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부대행사인 개인 소망등의 모습이다.



AABAT00460.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부대행사인 세시민속체험 모습이다.



AABAT00458.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행사 중 생선회 깜짝 경매 모습이다.



AABAT00458.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행사 맨손으로 활어 잡기 모습이다.



AABAT00457.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행사 중 그물끌기 한마당 모습이다.



AABAT00456.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 행사 중 그물끌기 한마당 모습이다.



AABAT00455.JPG

2014년 6월 20일부터 6월 22일까지 3일간 광안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4회 광안리 어방 축제의 개막식 축하 공연 모습이다.



AABAI00159.JPG

부산 광안리 야간 경관 조명 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해수욕장 일원에 조성된 신개념의 열린 야외 미술관 광안리 바다 빛 미술관 전경이다. 출처 : http://photo.busan.go.kr



AABAI00158.JPG

부산 광안리 야간 경관 조명 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해수욕장 일원에 조성된 신개념의 열린 야외 미술관 광안리 바다 빛 미술관 전경이다. 출처 : http://photo.busan.go.kr



AAMAS00092.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 모습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총 면적 8만 2000㎡, 백사장 길이 1.4㎞, 폭은 25~110m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금련산에서 내린 질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보행자 중심의 테마 거리[1,250m]가 조성되어 다양한 조형물과 벤치, 녹지대가 꾸며져 있다.



AABAI00050.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이다.



AABAI00049.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이다.



AABAI00048.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이다.



AABAH00019.JPG

1971년 광안리 해수욕장 개발 공사 기공식 모습이다.



AABAI00047.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위치하는 광안리 해수욕장 전경이다. 총 면적 8만 2000㎡, 백사장 길이 1.4㎞, 폭은 25~110m이다.



AABAT00122.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금련산에서 내린 질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AABAT00121.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주변에 많은 상권이 밀집되어 있다.



AABAT00120.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광안해변로에 있는 광안리 해변 테마 거리의 모습이다. 광안리 해변 테마 거리는 남천동 협진 태양 맨션에서 민락 회 타운까지 1,250m의 광안해변로를 따라 조성되어 있다. 해변 도로 주변에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레스토랑, 커피숍 등과 민락 회 센터와 신라 횟집 등이 모여 있다. 해변가에는 100여 개의 카페가 있어 광안리 카페 거리로도 알려져 있다.



AABAT00119.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광안해변로 에 있는 관광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남천동 협진 태양 맨션에서 민락 회 타운까지 광안해변로를 따라 조성되어 있으며, 낭만의 거리, 해맞이 광장, 젊음의 거리로 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AABAT00118.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광안해변로 에 있는 명화의 거리 전경이다. 도로 시설물 중 한전 지상 기기인 변압기와 개폐기에 명화로 도안된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 시트를 시공하였다.



AABAA00049.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에서 바라본 광안리 야경이다. 광안 대교의 경관 조명과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이 함께 보인다.



AABAT00117.JPG

광안리 해수욕장 일원에 조성된 신개념의 열린 야외 미술관 광안리 바다 빛 미술관의 전경이다.



AABAT00116.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 2호교 서측에서 남구 도시가스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광안 해변로의 전경이다. 광안리 해수욕장과 광안리 카페 거리 사이에 자리한 도로로 4차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T00027.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광안해변로 에 있는 관광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남천동 협진 태양 맨션에서 민락 회 타운까지 광안해변로를 따라 조성되어 있으며, 낭만의 거리, 해맞이 광장, 젊음의 거리로 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AABAT00026.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광안해변로 에 있는 관광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남천동 협진 태양 맨션에서 민락 회 타운까지 광안해변로를 따라 조성되어 있으며, 낭만의 거리, 해맞이 광장, 젊음의 거리로 구역이 나누어져 있다.



AAMAS00003.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야경 모습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총 면적 8만 2000㎡, 백사장 길이 1.4㎞, 폭은 25~110m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금련산에서 내린 질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보행자 중심의 테마 거리[1,250m]가 조성되어 다양한 조형물과 벤치, 녹지대가 꾸며져 있다.



AAMAS00002.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모습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총 면적 8만 2000㎡, 백사장 길이 1.4㎞, 폭은 25~110m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금련산에서 내린 질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보행자 중심의 테마 거리[1,250m]가 조성되어 다양한 조형물과 벤치, 녹지대가 꾸며져 있다.



AABAT00002.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AAMAS00001.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의 모습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총 면적 8만 2000㎡, 백사장 길이 1.4㎞, 폭은 25~110m이다. 광안리 해수욕장은 금련산에서 내린 질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과 함께 주변의 관광 위락 단지도 발달해 있다. 보행자 중심의 테마 거리[1,250m]가 조성되어 다양한 조형물과 벤치, 녹지대가 꾸며져 있다.



AAEZZ00268.jpg

광안리 해수욕장의 공중화장실, 여름행정봉사실 등 주변 편의시설모습



AAEZZ00266.jpg

광안리 해수욕장의 백사장과 해변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AAEZZ00260.jpg

광안리 해수욕장은 수영구 남천동의 삼익비치 맨션 동쪽에서 민락동의 매립지까지의 사장 일대를 말한다. 1980년대 후반에 민락동 매립지가 매립되기 전의 광안리 해수욕장은 민락동의 점이대에서 남천동 앞바다를 잇는 넓은 지역이었으나, 남천동과 민락동 앞바다가 매립됨으로써 해수욕장 사장이 줄어든 셈이다. 사장의 모래는 광안천에서 밀려내린 양질의 좋은 사질에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사장은 길이 1.4km, 면적 82,000㎡이며, 전국적으로 이름난 해수욕장이다.



AAMAS00091.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90.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89.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88.JPG

광안대교 공사 중 모습이다. 광안 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AAMAS00087.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86.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야경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BAT00115.JPG

장안 정상에서 바라 본 광안대교의 야경이다. 광안대교는 수영구 남천동과 해운대구 우동의 센텀시티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사진 정면에 보이는 곳이 해운대구이며, 뒤쪽이 수영구 남천동이다.



AABAA000148.JPG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이기대에서 바라본 광안 대교의 야경이다.



AAMAS00085.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야경 모습이다. 광안 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AAMAS00084.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야경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BAI00046.JPG

황령산에서 바라 본 광안 대교의 야경이다.



AABAI00045.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 광안 대교 야경이다.



AABAI00044.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야경이다.



AAMAS00083.JPG

광안대교는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1994년에 착공하여 2003년 개통하였으며, 최대 풍속 45m/sec와 7m의 파고, 리히터 규모 6의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AMAU00011.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대교의 모습이다. 1994년 12월 착공하여 2003년 1월 완전 개통하였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MAU00010.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대교에서 마라톤 대회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출처 : 부산관광컨벤션뷰로, 부산 과거와 현재(억수로 보고싶데이), 2008.



AAMAS00082.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81.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전경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AAMAS00080.JPG

광안대교 건설 중 모습이다. 광안 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AAMAS00079.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BAT00114.JPG

황령산에서 바라 본 광안대교 이다. 광안대교는 수영구 남천동과 해운대구 우동의 센텀시티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사진의 좌측이 해운대구 센텀시티이며, 우측이 수영구 방면이다.



AAMAS00078.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전경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AAMAS00077.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인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광안 대교는 첨단 조명 시스템을 구축해 10만 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경관 조명이 조성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다.



AAMAS00076.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모습이다. 광안 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AAMAS00075.JPG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 시티 부근을 잇는 광안 대교의 전경이다.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국내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AAEZZ00250.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9.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8.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7.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6.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5.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4.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3.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EZZ00242.jpg

현재 PIFF거리에 있는 충무동 포장마차 거리의 모습이다. 현재도 많은 포장마차가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진은 시민시대 6월호 홍성권 기자의 글 속에 있는 사진이다.
출처 : 木嚁學術會, 시민시대 6월호, 2004.



AABAT00295.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3가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의 임시 수도 기념관의 외부 모습이다. 1926년에 설립되었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건물 복원 공사를 하여 2012년 기존의 임시 수도 대통령 관저와 함께 2개 동의 구성을 갖추었다. 2002년에 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대지 면적은 4,773.6㎡이다.



AABAT00294.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3가에 있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산하의 임시 수도 기념관의 외부 모습이다. 1926년에 설립되었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건물 복원 공사를 하여 2012년 기존의 임시 수도 대통령 관저와 함께 2개 동의 구성을 갖추었다. 2002년에 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대지 면적은 4,773.5㎡이다.



AABAU00004.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임시 수도 기념관이다. 1926년 8월 10일에 준공되어 경남도시자 관사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이기 부산의 임시수도시절에는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었다.



AABAT00170.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2010년 조성된 대한민국 임시 수도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계단을 오르면 계단 중간에 피란민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



AABAT00169.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2010년 조성된 대한민국 임시 수도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계단을 오르면 계단 중간에 피란민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



AABAT00168.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2010년 조성된 대한민국 임시 수도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장터 풍경과 옛 생활 도구를 새겨 넣어 전쟁 당시의 생활상을 담아 낸 부조상과 쪽자 하는 아이 조각상, 당시 생활상을 수묵화처럼 표현한 벽화가 조성되어 있다.



AABAT00040.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2010년 조성된 대한민국 임시 수도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계단을 오르면 계단 중간에 피란민 조각상이 설치되어 있다.



AABAT00039.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에 2010년 조성된 대한민국 임시 수도 테마 거리의 전경이다.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입구부터 임시 수도 기념관 사이 거리 500m 구간에 조성되어 있으며, 전 구간의 바닥은 석재 보도블록으로 장식되어 있다.



AABAU00003.JP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암남 공원 해안가의 전경이다. 암남 공원은 진정산 일대의 자연 공원으로 천혜의 해안 절경을 자랑하고 있다.



AABAU00002.JP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암남 공원 해안가에 있는 절벽의 모습이다. 암남공원은 진정산 일대의 자연 공원으로 천혜의 해안 절경을 자랑하고 있다.



AAMAS00144.JP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암남 공원의 모습이다. 1972년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진정산 일대에 조성된 자연공원으로 천혜의 해안 절경을 자랑하는 암남 공원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해안을 따라 바다를 보며 삼림욕을 즐길 수 있다.



AABAT00535.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10월 27일까지 3일간 송도 해수욕장 일원에서 개최된 제6회 부산 고등어 축제의 행사장 전경이다.



AABAT00534.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10월 27일까지 3일간 송도 해수욕장 일원에서 개최된 제6회 부산 고등어 축제의 개막식 모습이다.



AABAT00533.JPG

2013년 10월 25일부터 10월 27일까지 3일간 송도 해수욕장 일원에서 개최된 제6회 부산 고등어 축제 개막식 테잎 컷팅을 하는 모습이다.



AABAA00083.JPG

1987년 태풍 셀마가 휩쓸고 간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모습이다. 태풍 셀마는 1987년의 첫 번째 초대형 태풍으로, 강력한 세력으로 고흥 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에 매우 큰 피해를 냈다. 한반도에 상륙한 7월의 태풍 중에서는 가장 강하다고 평가되는 태풍이다.



AABAH00037.PNG

1990년대 송도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AABAH00036.PNG

1970년대 송도해수욕장 전경이다.



AABAH00035.PNG

1970년대 송도해수욕장 전경이다.



AABAH00034.PNG

1968년대 송도해수욕장 전경이다.



AABAI00088.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송도 해수욕장의 1950년대 모습이다. 1913년 개장한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이다.



AABAI00087.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송도 해수욕장의 1926년 모습이다. 1913년 개장한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이다.



AABAI00086.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송도 해수욕장의 야경이다.



AABAI00085.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송도 해수욕장의 야경이다.



AAMAS00140.PNG

1966년 송도 해수욕장 구름다리 모습이다.



AAEZZ00395.PNG

사진의 왼쪽 아래는 1913년 우리나라 최초 개장한 송도해수욕장 전경이며, 오른쪽 위는 부산진성지 복원 전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옛모습』, 현대백화점, 1995



AAMAS00139.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송도 해수욕장의 모습이다.



AAMAS00138.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1982년 송도해수욕장 모습이다.



AABAI00084.PNG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송도에서 본 부산항의 1995년 모습이다. 1876년에 개항한 우리나라 최초의 무역항으로, 본격적인 개발은 개항 30년 후인 1906년부터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최대 항만이다.



AABAH00015.JPG

1968년 송도에 임시로 개청한 송도바다시청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EZZ00361.JPG

1913년 개장한 우리나라 최초 송도 해수욕장 전경이다.



AAMAS00014.JPG

1913년 개발된 송도 해수욕장 전경이다.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으로 남으로 바다를 끼고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AAMAS00013.JPG

1913년 개발된 송도 해수욕장 전경이다. 규모는 총 면적 30만 1131㎡, 백사장 면적 9,900㎡이며, 백사장 길이 800m, 너비 50m이다. 해수욕장의 평균 수심은 1~1.5m이다. 부산 중심가에서 3㎞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시내에서 가장 가까운 해수욕장이다.



AAMAS00012.JPG

1913년 개발된 송도 해수욕장 전경이다.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으로 남으로 바다를 끼고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AAEZZ00360.JPG

송도 해수욕장이 만들어 지기 전 송도 해변 전경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8



AAEZZ00262.jpg

송도(松島)라는 명칭은 현재 송도해수욕장 동쪽의 거북섬에 소나무가 자생하였던 데에서 유래하였다.
해안면적이 301,131㎡(사장면적 9,900㎡)로 1910년 일제강점으로 일본인들이 몰려와 '송도유원지주식회사'를 설립하여 송도(거북섬)를 허물고 1913년 수정(水亭)이라는 휴게소를 설치하고 사자을 해수욕장으로 개발하였다. 당시에는 인가가 거의 없었고 동물검역소가 있던 모지포(毛知浦)라는 포구 일대에 어민이 얼마간 살고 있었다 한다. 송도 해수욕장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해수욕장이자 관광지로 유명해졌다. 수정이 세찬 비바람에 여러차례 무너져 다시 세우는 과정에서 섬이 깎여들어 텃자리가 거북모양으로 낮아져 이름도 거북섬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1964년 4월 거북섬과 해수욕장 서쪽 언덕을 잇는 420m…



AAEZZ00224.jpg

송도해수욕장 전경이다.



AAEZZ00081.jpg

엽서의 오른쪽에 한복을 입고 물동이를 인 여성이 스케치 되어 있고 좌측에 송도해수욕장의 사진이 들어 있다. 사진의 하단에 송도해수욕장에 대한 간략한 일본어 설명(부산시에서 남쪽으로 약 10정 거리의 암남반도의 일부에 만입된 해안을 송도라고 부른다. 여름에는 해수욕장으로 붐비고, 바다는 멀리까지 맑으며백사장과 청송이 이상적인 해수욕장. )이 인쇄되어 있다. 사진의 왼쪽 하단에는 "(鎭海灣要塞司令部檢閱濟)"라고 인쇄되어 있다.



AAMAL00001.jpg

우측에서 바라본 송도해수욕장 전경



AAEZZ00077.jpg

우측에서 바라본 송도해수욕장 전경





AAMAN00004.jpg

(鎭海灣要塞司令部檢閱濟)라고 쓰여져 있음



AABAT00516.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구덕망께터다지기를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EZZ00415.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구덕망께 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노동요를 중심으로 집의 터를 닦는 과정을 재현한 민속 연희로,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와 땅을 다지는 작업 과정에 대한 원형을 지니고 있어 민속적인 가치가 크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EZZ00414.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구덕망께 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노동요를 중심으로 집의 터를 닦는 과정을 재현한 민속 연희로,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와 땅을 다지는 작업 과정에 대한 원형을 지니고 있어 민속적인 가치가 크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EZZ00413.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구덕망께 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노동요를 중심으로 집의 터를 닦는 과정을 재현한 민속 연희로,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와 땅을 다지는 작업 과정에 대한 원형을 지니고 있어 민속적인 가치가 크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EZZ00412.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구덕망께 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노동요를 중심으로 집의 터를 닦는 과정을 재현한 민속 연희로,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와 땅을 다지는 작업 과정에 대한 원형을 지니고 있어 민속적인 가치가 크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EZZ00411.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부산구덕민속예술보존협회의 「구덕망께 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노동요를 중심으로 집의 터를 닦는 과정을 재현한 민속 연희로, 전통 건축에서 터를 다지는 도구인 망께와 땅을 다지는 작업 과정에 대한 원형을 지니고 있어 민속적인 가치가 크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AT00028.JPG

1910년대 부산 서구 부산부립병원의 모습이다. 1876년 관립제생원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885년 일본거류민단립병원으로 개칭하였다가, 1914년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후 현재는 부산대학교 병원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나가고 있다.



AAMAT00027.JPG

1910년대 부산 서구 부산부립병원의 모습이다. 1876년 관립제생원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885년 일본거류민단립병원으로 개칭하였다가, 1914년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후 현재는 부산대학교 병원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나가고 있다.



AAMAT00026.JPG

1910년대 부산 서구 부산부립병원의 모습이다. 1876년 관립제생원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885년 일본거류민단립병원으로 개칭하였다가, 1914년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후 현재는 부산대학교 병원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나가고 있다.



AAMAT00025.JPG

1910년대 부산 서구 부산부립병원의 모습이다. 1876년 관립제생원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885년 일본거류민단립병원으로 개칭하였다가, 1914년 부산부립병원으로 개칭 후 현재는 부산대학교 병원으로 그 역사성을 이어나가고 있다.



AAMBG00001.PNG

부산 공동 어시장의 전신인 옛 부산 종합 어시장의 모습이다.



AABAI00202.PNG

옛 부산 어시장에서 생선을 판매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H00007.JPG

부산공동어시장 내 수산물 경매 모습이다.



AABAS00007.JPG

부산 공동 어시장의 경매 모습이다. 출처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U00001.JPG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에 있는 부산 공동 어시장 모습이다. 1963년 부산 종합 어시장으로 개장하였고, 1971년 부산 공동 어시장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AABAH00006.JPG

부산공동어시장 내 수산물 경매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S00006.JPG

부산 공동 어시장의 어획물 이동 모습이다. 출처 : 『부산의 상공업 100년』, 부산상공회의소, 1989



AABAH00005.JPG

부산공동어시장 내 수산물 판매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H00004.JPG

부산공동어시장 내 수산물 판매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H00003.JPG

부산공동어시장 내 수산물 판매 모습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EZZ00368.JPG

1935년 개장했던 중앙 도매 시장의 전경이다. 2층 건물[시장 본관]이 1동 있었으며, 선어부와 청과부로 분리되어 운영되었다. 출처 : 『부산의 옛모습』, 현대백화점, 1995



AAEZZ00226.jpg

부산의 중앙도매시장의 모습



AAEZZ00069.jpg

기모노를 입은 사람들이 시장을 둘러보는 모습



AAEZZ00068.jpg

부산 중앙어매시장 건물의 모습. 엽서 좌측 상단에 일본어로 된 설명(부산 십팔만 부민의 부엌인 중앙어매시장은 부지 이천이백사십팔 평이다.



AABAI00192.JPG

1983년 창원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경상남도 도청으로 사용한 (구)경상남도 도청 전경이다. 2014년 현재 동아대학교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AABAI00146.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임시 수도 정부 청사의 전경이다. 부산지역 대표적 근대 조적조 좌우대칭 건축물로 1923년 경상남도청 건물이었으며, 1950년 6·25 전쟁시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사용되었고, 다시 도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 동아대학교 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고, 등록문화재 제 4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AS00174.JP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임시 수도 정부 청사이다. 부산지역 대표적 근대 조적조 좌우대칭 건축물로 1923년 경상남도청 건물이었으며, 1950년 6·25 전쟁시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사용되었고, 다시 도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 동아대학교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고, 등록문화재 제 41호로 지정되어 있다.



AAMAZ00001.PNG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에 있는 동아대학교 박물관이다. 부산지역 대표적 근대 조적조 좌우대칭 건축물로 1923년 경상남도청 건물이었으며, 1950년 6·25 전쟁시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사용되었고, 다시 도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 동아대학교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AAEZZ00166.jpg

일본인 유곽은 원래 부평동 보수천가에 있었으나, 도심지 확장으로 밀려나 70,000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1910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김재승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ㆍ부산항 130년 』



AAMAS00095.JPG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에 있는 구덕 운동장 삼거리의 주변 모습이다. 1973년에 건립된 종합 운동장으로, 주 경기장, 구덕 야구장, 체육관, 씨름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AAMAS00094.JPG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에 있는 구덕 운동장의 모습이다. 1973년에 건립된 종합 운동장으로, 주 경기장, 구덕 야구장, 체육관, 씨름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124.JPG

1982년 건립된 구덕 운동장의 전경이다. 주경기장, 구덕 야구장, 체육관, 씨름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AAMAS00093.JPG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에 있는 구덕 야구장의 모습이다. 1971년 부산광역시 최초의 야구 전용 경기장으로 개장하였다.



AABAT00029.JPG

1982년 건립된 구덕 운동장의 입구이다. 주경기장, 구덕 야구장, 체육관, 씨름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AABAT00028.JPG

1971년 건립한 구덕 야구장의 내부이다. 인조잔디 1면으로 관람석은 11,724석이다.



AAMAS00101.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부산광역시 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하구둑인 낙동강하구언의 전경이다. 낙동강의 하구를 가로막은 둑으로 1983년 9월에 착공하여 1987년 11월에 준공된 콘크리트 중력댐이며, 길이 2,400m, 높이는 18.7m이다.



AABAS00015.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낙동강 하구의 방조제 낙동강 하구둑 공사 모습이다. 1983년 9월에 착공하여 1987년 11월에 준공되었다.



AABAS00014.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낙동강 하구둑의 전경이다.



AABAI00053.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낙동강 하구의 방조제이다. 낙동강의 하구를 가로막은 둑으로 1983년 9월에 착공하여 1987년 11월에 준공된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AABAT00108.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을숙도 대교 교차로에서 북구 화명동에 이르는 강변 대로의 전경이다. 사하구 하단동을 지나는 구간으로 하굿둑 교차로에서 낙동남로와 연결된다.



AAMAS00161.PNG

부산광역시 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인 을숙도대교의 전경이다. 을숙도 대교는 총 길이 5,205m에 교량 구간이 3,605m이며 폭은 25.5~35m로 왕복 6차선으로 조성되어 있다.



AAMAS00160.PNG

부산광역시 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인 을숙도대교의 전경이다. 을숙도 대교는 총 길이 5,205m에 교량 구간이 3,605m이며 폭은 25.5~35m로 왕복 6차선으로 조성되어 있다.



AAMAS00159.PNG

부산광역시 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인 을숙도대교의 전경이다. 을숙도 대교는 총 길이 5,205m에 교량 구간이 3,605m이며 폭은 25.5~35m로 왕복 6차선으로 조성되어 있다.



AAMAS00158.PNG

부산광역시 서구 명지동 75호 광장에서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66호 광장을 연결하는 다리인 을숙도대교의 전경이다. 을숙도 대교는 총 길이 5,205m에 교량 구간이 3,605m이며 폭은 25.5~35m로 왕복 6차선으로 조성되어 있다.



AABAI00107.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에 있던 농수로의 1970년대 모습이다.



AAMAR00018.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 남단 철새관망대의 모습이다.



AAEZZ00364.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는 을숙도의 전경이다. 을숙도는 새가 많이 살고 물이 맑은 섬이라 하여 붙은 지명으로 전해진다.



AAEZZ00285.jpg

다대포 싸움에서 전사한 윤흥신 첨사의 제사를 지내는 곳인 윤공단에 있는 윤흥신공 순절비와 그 비문내용이다.



AAEZZ00284.jpg

윤흥신 첨사의 다대포 싸움에 대한 전투도



AABAT00522.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사하방아소리보존회에서 사하방아소리를 경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BAT00517.JPG

2014년 7월 19일에 구덕 민속 예술관 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제43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중 다대포후리소리보존협회에서 다대포후리소리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AAEZZ00436.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하방아소리보존회의 「사하방아소리」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아를 찧을 때 부르는 2음보의 규칙적인 사설의 형식의 방아 노동요 또는 제분(製粉) 정미요이다.



AAEZZ00435.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하방아소리보존회의 「사하방아소리」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아를 찧을 때 부르는 2음보의 규칙적인 사설의 형식의 방아 노동요 또는 제분(製粉) 정미요이다.



AAEZZ00434.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하방아소리보존회의 「사하방아소리」 공연 모습이다.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장아를 찧을 때 부르는 2음보의 규칙적인 사설의 형식의 방아 노동요 또는 제분(製粉) 정미요이다.



AAEZZ00420.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다대포후리소리보존회의 「다대포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다대동에서 멸치잡이 후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로, 1987년 7월 2일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19.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다대포후리소리보존회의 「다대포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다대동에서 멸치잡이 후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로, 1987년 7월 2일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AAEZZ00418.JPG

2012년 제41회 부산 민속 예술 축제 행사 중 (사)다대포후리소리보존회의 「다대포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다대동에서 멸치잡이 후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로, 1987년 7월 2일 부산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AABAS00023.JPG

멸치잡이 할 때 부르는 노동요 다대포 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Y00003.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인「다대포후리소리」발표회 모습이다. 전반부는 당산제와 용신제에서 불리는 의식요이고, 후반부는 멸치를 잡는 과정에서 불리는 어업 노동요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Y00002.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인「다대포후리소리」발표회 모습이다. 전반부는 당산제와 용신제에서 불리는 의식요이고, 후반부는 멸치를 잡는 과정에서 불리는 어업 노동요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20.JPG

1996년 8월 다대포에서 열린 제1회 부산바다축제 민속공연인 다대포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Y00001.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인「다대포후리소리」발표회 모습이다. 전반부는 당산제와 용신제에서 불리는 의식요이고, 후반부는 멸치를 잡는 과정에서 불리는 어업 노동요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19.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 부르는 노동요 다대포 후리소리 공연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7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40.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몰운대의 전경이다. 낙동강에서 내려오는 토사의 퇴적으로 다대포와 연결된 전형적인 육계도[목섬]이며, 해안 자갈 마당과 어우러진 해안선은 부드럽고 완만한 편이다.



AABAT00186.PNG

1967년 유원지로 지정된 몰운대 유원지 내에 있는 시비이다. 1999년 사하지역발전협의회에서 조성하였다.



AABAT00185.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몰운대 유원지의 산책로 전경이다.



AABAT00184.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몰운대 유원지의 관리소이다.



AABAI00004.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몰운대의 전경이다. 낙동강에서 내려오는 토사의 퇴적으로 다대포와 연결된 전형적인 육계도[목섬]이며, 해안 자갈 마당과 어우러진 해안선은 부드럽고 완만한 편이다.



AAMAS00010.JPG

몰운대(沒雲臺)의 남쪽 끝은 파도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식동(海蝕洞)이 발달되어 있고, 배후인 육지 쪽에는 수려한 모래 해안인 다대포 해수욕장이 있다. 이곳은 군사 작전 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가, 1997년 이후 출입이 허용되었다. 맑은 날이면 수평선 저 멀리 대마도가 보인다.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AABAI00003.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몰운대의 전경이다.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낙동강에서 내려오는 토사의 퇴적으로 다대포와 연결된 전형적인 육계도[목섬]이며, 해안 자갈 마당과 어우러진 해안선은 부드럽고 완만한 편이다.



AABAT00025.JPG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며 건설된 대티 터널 전경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I00054.JPG

1970년대 대티 터널의 전경이다.



AABAH00024.JPG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며 건설된 대티 터널 전경이다.



AABAT00167.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는 대티 터널의 전경이다. 편도 2차선의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AABAH00023.JPG

사하구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을 연결하며 건설된 대티 터널 전경이다. 출처 : 『약진, 50년의 자취』(부산박물관, 2013)



AABAT00679.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1490년 건립된 다대포성 터이다. 조선 전기 경상 좌도의 수군 진성 터로, 다대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동쪽과 남쪽 성벽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으며, 대부분 주택의 축대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AABAT00471.jpg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8회 부산 바다 축제 행사 중 7080 가족사랑 콘서트의 모습이다. 인디밴드가 공연을 하고 있다.



AABAT00470.jpg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개최된 제18회 부산 바다 축제 행사 중 7080 가족사랑 콘서트의 전경이다.



AABAY00004.JPG

1904년 4월 30일 다대포초등학교에서 다대포 객사를 촬영한 모습이다. 다대포 객사 복원 전 모습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35.JP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다대첨절제사영 소속 객사 다대포 객사 전경이다. 몰운대 내 위치한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I001.JPG

조선 후기 다대 첨절제사영 소속 객사인 다대포 객사의 전경이다. 몰운대 내에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어 있다.



AABAT00151.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 주변에 조성된 해변 공원의 전경이다.



AAMAS00098.PNG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부산의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물놀이 공간으로 1970년대 개장하였다. 백사장의 면적은 5만 3000㎡로, 길이 900m, 폭 100m에 이른다. 연안에서 300m 거리의 바다까지도 수심이 1.5m 정도로 얕고, 평균 수온이 21℃이다.



AABAT00150.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진입 광장, 방사림, 산책로, 생태 탐방로, 해수천 등 생태 친화적 해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AABAT00149.PNG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의 전경이다. 낙동강 하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다.



AABAT00148.PNG

남해를 끼고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백사장이 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부산의 시민 휴식 공간이자 물놀이 공간으로 1970년대 개장하였다. 백사장의 면적은 5만 3000㎡로, 길이 900m, 폭 100m에 이른다. 연안에서 300m 거리의 바다까지도 수심이 1.5m 정도로 얕고, 평균 수온이 21℃이다.